몰트만의 종말론적 희망의 신학과 세계관
- 최초 등록일
- 2000.09.08
- 최종 저작일
- 2000.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 서 론
II. 본 론
A. 몰트만의 신학적 배경
1. 오토 베버의 개혁주의 전통
2. 한스 에반트의 헤겔 철학
3. 에른스트 볼프의 사회 윤리학
B. 몰트만의 "종말론적 신학"
1. 전통적 종말론
2. 종말론의 재발견
C. 희망의 신학
1. 신앙과 희망
2. 미래를 변화시키는 희망
III. 결 론
*** BIBLIOGRAPHY
본문내용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은 칼 바르트 이후 현대 신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고 있는 신학자이다. 그는 신학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한 20 세기 후반의 기수로, 그의 신학적 입장은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있겠으나 “종말론”, “희망” 그리고 “삼위일체의 하나님”이라는 개념으로 대표 될 수 있겠다.
특히 종말론에 있어서 몰트만 이전 까지의 종말론은 기독교 신학의 마지막 부록 쯤으로 역사의 종국에 가서나 있을 수 있는 미래적인 것으로 여겨졌는데 비하여 몰트만은 이 종말론이야 말로 기독교 신학의 근거로서 그 시작이며 중심이라고 주장함으로서 기독교 신학에서 종말론이 얼마나 근본적이며 성서적 기독교적 본래적 중대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일깨워 주었다.
나아가 몰트만은 이러한 신학적 입장을 철저하게 소망의 지평과 미래의 차원에서 종말의 관점으로 시종일관하고 있다. 즉, 그에 의하면 출애굽이나 이스라엘의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은 “소망의 하나님(롬 15:13)”으로서 “미래를 존재의 양태”로 가진 하나님이다.
특히 그는 이러한 일에 관여하시는 성령 하나님에 대해 역설 하였는데, “성령의 사귐”이라는 의미로 말하고 있다. 성령의 사귐에 대해 그는 “성령의 사귐의 경험은 기독교를 필연적으로 그 자신을 넘어서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들의 보다 더큰 사귐 속으로 인도 한다”고 말한다.
또한 이러한 종말론적 소망은 현실을 간과하는 희망이 아니라 항상 현실과의 대립 가운데서 나타난다. 그리하여 경험과 희망이 맞서는 상극 속에서 갈등이 생기고 그 희망은 고난과 죽음이 경험되는 현실과의 대결 에서 형성되어 인간을 하게 하는 역동성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소망의 사고는 크리스챤으로 하여금 주어진 현실에 대한 변혁에로 행진하게 한다. 즉,
참고 자료
김 광식, 현대의 신학 사상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80
김 균진, 헤겔 철학과 현대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김 영한,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노 영찬 외, 현대 신학자 20인(현대 신서 No.21)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77
맹용길(편), 현대 신학 사상(I) 서울 : 성광 문화사, 1983
김 진, “메타 종교 이론과 유토피아적 희망” - E. Bloch” 기독교 사상 제 332호
(1986. 8) 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