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석사통과 논문입니다. 많은 도움과 자료가 되었으면 좋겠네용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배경 및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한국화 교육 실태 1. 한국화 개념
2. 한국화 지도의 교육적 가치
3. 한국화 교육의 실태
III.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 한국화 지도 사례분석
1. 흥미유발단계
2. 기초 표현기법 단계
3. 창의적 표현단계
4. 감상단계
5. 한국화 지도 결과 분석 및 각 단계의 보완적
IV. 초등학교 한국화 지도 방법의 개선 방안
1. 한국화 지도 방법의 개선 방안
V.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1. 한국화 개념
우리나라의 전통 회화는 일찍부터 중국 회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따라서 중국 회화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중국의 미감이나 미의식이 크게 작용하였으나, 중국의 회화를 우리의 선조들은 적극적이면서도 선별적으로 수용하였다. 즉 우리의 선조들은 중국 회화를 있는 그대로 무조건 받아들이지 않고 항상 자기들 취향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수용하고, 우리의 정서에 맞게 변형하여 중국 회화와 구분되는 한국적 화풍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우리의 전통 회화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특색을 키우며 변천을 거듭해 왔고 시대마다 다른 양식의 회화를 발전시켜 조선 후기에는 한국 회화상 새로운 경향들이 발생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경산수이다.
진경산수는 겸재 정선에 의해서 비롯되었으며 정선의 그림은 우리나라의 산천을 소재로 삼아 그리는 진경산수였다. 정선이 개척한 진경산수는 단순히 우리나라의 산수를 화재로 택해 그렸다는 것뿐만이 아니라 실경들을 다룸에 있어서 독자적이며 한국적인 화풍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한국적인 화풍은 조선말기의 추사 김정희를 중심으로 서화를 즐기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오원 장승업은 근대 화단에서 한국회화의 전통을 잇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이당 김은호는 우리나라 현대 화단의 기틀을 이루게 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전통 회화는 중국이나 일본의 회화와는 완연히 구분되는 독창적인 전통 회화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한국적인 우리나라의 전통 회화를 오랫동안 동양화라고 불러왔다. 원래 동양화란 한국, 중국, 일본 등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의 문화권을 상징하는 그림 양식의 명칭이었다. 아시아권의 나라에서 국수주의적인 기상이 대두되면서 중국인이 먼저 중국화라고 부르기 시작했고 그 후 일본은 일본화라고 불렀다.그리고 우리 한국은 최근 몇 년 전에 우리나라의 전통 회화인 우리의 그림을 한국화라 부르게 되었다. 한국화 용어의 사용에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으나 한국의 전통적인 재료와 용구, 표현기법으로 표현한 그림을 한국화로 보기도 하고 한국의 작가가 한국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의식을 갖고 한국적 생활 감정을 바탕으로 한국적 소재로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참고 자료
교육부,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5, 6학년용)』, 대한 교과서, 2001.
교육부, 『초등학교 미술과 교사용 지도서(5,6학년용)』, 국정 교과서, 2001.
김봉권, 『미술 지도는 이렇게 하자』, 공론사,1995.
김석중, 『수묵화실기 강좌』, 신영출판사, 1984.
김원룡외 1인, 『한국 미술사』, 서울대학교 출판사, 1993.
김종태, 『동양화론』, 일지사, 1982.
김종태, 『동양회화사상」, 일지사, 1977.
김층식, 『한국화 그리기』, 학지사, 2001.
노재우, 『미술교육론』, 흥성사, 1990.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