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전화를 통한 일상성 연구 -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Daily life through Telephone in Modern Korean Novels - focused on Modern Korean novels between 1970s and 2000s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전화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매우 중요한 미디어 가운데 하나이다. 본격적인 보급이 시작된 이래, 전화는 당대의 사회상이나 사람들의 욕구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왔다. 한국 현대 소설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사람들의 일상적 삶을 표현하기 위해 전화를 활용하는 시도가 계속 있어왔다. 곧 소설에 나타난 전화의 진화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현대사는 물론, 민중이 겪은 일상적 변동의 역사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시대별 한국 소설에서 전화는 철저하게 당대 현대인의 의식을 반영해 왔다. 1970년대 전화는 유입되던 다른 서구의 문물들처럼, 사람들에게 경외감을 주었다. 이로 인해 현존(現存)하면서도 단순한 도구 이상으로 사람들에게 다가오진 못했다. 그러다 1980년대의 경제발전과 결합하여 전화는 점차 소비의 상징으로 거듭나며 퍼진다. 1990년대 공중전화의 보급은 전화가 기능적인 측면을 넘어 감성적인 면을 획득하는 데 일조한다. 공중전화의 확산을 통해 전화는 단순한 기계가 아닌 인간 신체를 확장하는 미디어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의 휴대폰은 멀리 떨어진 사람과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전화의 본질적인 기능을 넘어, 사용자의 편의와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진화했다. 이전 소설에서 이질적인 물건으로 묘사되던 전화는 이제 사용자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전화의 미디어적 특성의 확대는 전화와 인간, 그리고 소설이 맺고 있던 관계의 양상을 변화시켰다.
영어초록
Telephone is one of important media in modern daily life. Since telephone was diffused, it has altered constantly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f the times and the needs of people. Modern Korean novels reflect well on its feature, so they have tried to express daily life of people by telephone. Therefore, to study the progress of telephone is deeply related to both the historical change of daily life and Korean 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times, Korean novels has reflect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age. The telephone in 1970s is awesome like the other stuffs from Western civilization. So, it exists as just a tool. But, gradually telephone becomes the symbol of consumption with the economic growth in 1980s. The advent of public phone in 1990s makes telephone to get the emotional function beyond technical one. And, it is made to be the media as the expansion of the human body by the diffusion of public phone. Nowadays, cellar phone develops from the basic function to talk with people in remote places to the higher function to reflect the needs and convenience of people. Telephone changes into the symbol to express its user's identity. These development of telephone as media have altered the relations among telephone, people, and novel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