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수록지 정보 : T. S. 엘리엇연구 / 27권 / 1호 / 22 ~ 56페이지
· 저자명 : 김양순
초록
본고는 현대 문단과 학계의 주목을 받아온 T. S. 엘리엇에 관한 지난 80년간의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또한 연구의 현황을 점검한다. 2006년에 출판된 글, 영시 연구 50년사에서 필자는 1950년대와 1960년대는 영시를 도입하고 소개한 시기로, 70년대는 연구 영역을 확장한 시기로, 80년대는 영시 연구를 심화한 시기로, 90년대는 다양한 시 분석 방법과 이론이 융성한 시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는 1990년대의 연구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더욱 쟁점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로 보인다. 더구나 학회, 학술대회, 학술지들은 국내에서의 영문학 연구의 흐름에 지대한 변화를 가지고 왔다. 본고는 학술지 영어영문학이 1955년 창간되기 이전, 엘리엇의 작품 번역, 그에 관한 신문기사, 잡지의 글 등의 조사에서 출발하여, 1950년 중반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번역, 회고록, 에세이, 논문, 단행본, 학위논문들을 중심으로 엘리엇에 관한 연구의 궤적을 살펴본다. 아울러 본고는 국내에서의 향후 엘리엇 연구의 과제를 전망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an eighty-year research history of T. S. Eliot, who has been highly acclaimed in Korean literary and academic society. In the book chapter entitled “A Fifty-Year Research on British Poetry” in 2006, I classified the 1950s and 1960s as the decades of importing and introducing English poetry; the 1970s as the decade of enlarging the scope of research; the 1980s as one of deepening research; the 1990s as a prosperous decade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and theories; and the period after 2000 as one of continuing the research directions of the 1990s, but centering around more issues of contention. Moreover, academic associations, conferences, and journals have been contributing to quantitatively expanding the research and bringing about a profound shift in literary and critical trends in English studies in Korea. This paper will start with a brief survey of translations, newspaper articles, papers, and books on T. S. Eliot before 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was published in 1955, and then will move on to the periods from roughly the mid-1950s to the present, examining avenues of Eliot research covering translations, memoirs, essays, academic papers, books, theses, and dissertations. This study also aims to speculate on future research trends on Eliot in Korea.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