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상반기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관련 연구물의 연도별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5년 상반기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수업설계 및 적용, 수업설계 효과분석, 모형 개발 및 적용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은 수업설계, 수업설계 효과분석, 모형개발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 중학생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상반기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국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수업설계 및 적용, 수업설계 효과분석, 평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은 수업설계, 수업설계 효과분석, 문헌고찰 및 제언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결과에 기반을 두어 국내・국외에서 수행되어온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지향하여야 할 연구방향을 탐색해보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problem based learning conducted from 2005 to 2015. The most studied topics in Korea from 2005 to 2015 were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grams,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The most used research methods were program desig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gram, and model development. The most studied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most studied topics overseas from 2005 up to 2015 were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grams, and evaluation. The most used research methods were program design, analysis of the effect of programs, the literature review. The most studied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teachers. In this study, it was explored the flow of research conducted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based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