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 녀학생의 일기>를 통해 본 북한영화 관객성 연구 (A Study on the Spectatorship of North Korean Cinema around The Schoolgirl’s Diary(2006))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0.08
34P 미리보기
&lt;한 녀학생의 일기&gt;를 통해 본 북한영화 관객성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34호 / 341 ~ 374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아

    초록

    논문은 북한영화인 <한 녀학생의 일기>(장인학, 2006)의 관객성을 연구한 것이다. 논문에서 사용하는 ‘관객성 spectatorship’이란, 영화를 본 관객들의 반응을 포함해서 텍스트에 내포된 관객까지를 포함한 포괄적인 담론 분석 개념이다. ‘관객성’ 담론연구는 영화학에서 당대 영화관객의 심상 지리를 파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수용자 분석 방법론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 ‘관객성’ 개념은 북한 내부 담론과 외부 담론을 비교해서 북한영화를 고립시키지 않은 채 보편적 세계영화의 맥락에서의 특수성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한 녀학생의 일기>는 북한영화로는 드물게 북한 내부에서도 흥행에 성공을 했으며 북한 외부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북한영화로 꼽히고 있는 작품이다. 논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이 영화에 대한 담론, 맥락, 텍스트를 분석한다. 크게 북한영화인들, 북한영화관객, 그리고 비북한 영화관객이 그것이다. 먼저 북한영화인들의 반응은 조선예술에 실린 <한 녀학생의 일기>에 대한 글을 통해 살펴본다. 창작방법론 중심인 북한의 영화예술론이 <한 녀학생의 일기> 이후 어떤 변화와 지향점을 갖게 되었는가를 주로 살펴본다. 북한영화관객들의 각종 인터뷰나 흥행의 원인을 밝히는 글들을 먼저 제시하고 흥행 이면에 담겨 있는 집단적인 무의식을 분석해 본다. 북한관객들이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는 행간의 의미를 영화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밝힐 것이다. 한편 비북한 관객들에 대한 분석은 주로 평양세계영화축전에 참석했던 기자들, 한국학 연구자들 등의 반응을 종합하고 이들이 영화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살펴본다. 전 세계에서 쏟아진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의 근원을 파악하고, 이 영화가 국제적인 영화(제) 네트워크에서 유통될 수 있는 교환가치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한 녀학생의 일기>가 등장한 후 북한영화는 직접적인 프로파간다 영화로 회귀한 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는 북한영화에서 예외적인 영화일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영화 내부에서 이러한 예외적인 영화가 출현하게 된 원인과 맥락을 짚어주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현재 북한영화의 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정서적 풍경을 그려보는 작업이다. <한 녀학생의 일기>는 동시대 북한 영화 중 북한 내부와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던 영화이기에 충분히 개입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study the spectatorship of a North Korean film The Schoolgirl’s Diary (Jang In―hak, 2006, DPRK). The notion of spectatorship which this paper digs out is used for an inclusive concept ranging from the responses of audiences who saw the film to an implied spectator. A research depending on experience has a limitation, because the real responses from North Korean audiences have been controlled by the communist party in North Korea and so we can know its responses indirectly, for example only from reviews and articles. In order to overcome the inevitable limitation and have an in―depth reading of North Korean cinema, I suggest some more inclusive ideas on spectatorship.
    The Schoolgirl’s Diary was exceptionally highlighted in both home and abroad as well as hit the mega box―office at home. I will analyze the text, contexts and discourses in terms with three parts relating to the spectatorship: North Korean film professionals, North Korean audiences and non―North Korean audiences. First, I will examine the responses of North Korean film professionals by the reviews and articles on The Schoolgirl’s Diary printed on Chosun Art (a.k.a. Chosun Yesul). For the responses of North Korean audiences, I will analyze the collective unconscious behind its box―office record by different interviews or columns that illuminate some reasons of the success. A concrete and detailed analysis on the film can also tell us another meaning between the lines that were not officially told by North Korean audiences. The analysis on non―North Korean audiences will be, meanwhile, achieved by synthesizing the responses of editors, reporters and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visited Pyongya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iff). Understanding the origin of interests in the film from all over the world, I will examine what the exchange value of the film that has been able to be circulated in a circuit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s.
    After The Schoolgirl’s Diary, North Korean cinema seems to recur to the propagandistic modality. Therefore the film might be very exceptional in North Korean cinema.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context and reason how and why the exceptional film appears in the stream of North Korean cinema. One of the ways to understand the current position of North Korean cinema is to describe the spectational affective landscape around the film. The Schoolgirl’s Diary is worth for a researcher of North Korean studies to intervene, for it is the film which received the most enthusiastic responses from both home and abroad among contemporary North Korean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