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에 나타난 환상성 (A Study on the Fantasy of the Changgeuk MADAM 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10
34P 미리보기
창극 &lt;변강쇠 점 찍고 옹녀&gt;에 나타난 환상성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4호 / 235 ~ 268페이지
    · 저자명 : 송미경

    초록

    환상성은 당대의 삶이나 현실에서 해소될 수 없는 갈등을 분출하는 출구 또는 대리만족을 위한 통로로 기능하는바,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은밀하고 억압된 것에 대한 충족 욕망 또는 현실을 재해석해보려는 성찰로 그것을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 따라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의 인물 및 서사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성격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밝혔다.
    작품의 환상을 확장하는 역할은 ‘옹녀모’와 ‘장승들’ 두 캐릭터가 맡는다. 우선 작품에서 죽은 어미의 ‘혼령’으로 나타나는 ‘옹녀모’는 원작에는 없는 새로운 인물로, ‘옹녀’의 현실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환상적 존재다. 그가 일러준 ‘옹녀’ 상부살 내력이나 ‘장승’ 신령과의 소통 방법이 현실의 ‘옹녀’가 ‘장승’과의 대결을 결심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장승들’은 의인화된 ‘신령’으로 표현되어 현실/비현실, 사람/사물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환상을 불러일으킨다. 다만 작품에서 ‘장승=신령’에 대한 강조와 장승에 대한 희화화가 동시에 지속되기 때문에 원작과는 달리 장승 형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 ‘장승들’은 결말에 이르러 ‘옹녀’의 조왕살 불길에 쓰러진다. 작품에 구현된 환상성의 양상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옹녀모’라는 ‘혼령’이 주인공 ‘옹녀’와 만나 확장되는 환상성은 시대를 거쳐 반복되어온 여성 삶의 질곡을 고발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옹녀의 상부살 내력’과 관련되는 서사가 그 이상의 동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제4장 산중생활’에서 일단락되고, 조강지처로서 일부종사를 꿈꾸는 결말부 ‘옹녀’의 형상이 가부장적 질서에 그대로 순응하는 모습이어서 여성 삶의 질곡을 고발한 앞의 내용과 배치된다는 한계가 있다. ‘옹녀’가 꿈꾸는 사랑의 환상도 적극적인 현실 대응이나 전복보다는 현실로부터의 도피나 격리에 가깝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둘째, ‘장승들’로부터 구현된 환상성은 집단의 폭압에 대한 문제 제기의 기능을 원작과 공유하지만, 그 구체적인 결에 차이가 있다. ‘변강쇠’에게만 잘못이 있었던 원작과 달리, 여기서는 ‘함양장승’에게도 분명한 잘못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된다. 이러한 환상 구현은 ‘강쇠’에 대한 징치 결정이나 행위의 정당성을 약화하는 방식으로 집단의 폭압에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한다. 그러나 그에 대한 대응이 없었을 뿐 아니라, ‘장승 죽음’ 이후 ‘강쇠’의 형상이 지나치게 나약한 모습으로 격하되었기에 그 환상은 힘을 잃고 말았다.
    특유의 웃음과 해학을 곁들여 재치 있게 펼쳐 보인 환상성은 분명 본 작품이 거둔 커다란 미학적 성과라 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옹녀’ 형상, 주체성을 잃은 ‘강쇠’ 형상으로 귀결된 데서 비롯된 한계는 다소 아쉽다.

    영어초록

    Fantasy acts as a communication outlet that exudes vicarious satisfaction, or solutions for conflicts that cannot be resolved in life or in the reality of the time; it can be interpreted as a desire to satisfy secrets and repressed feelings that are not fulfilled in reality, or as an unconscious reinterpretation of reality. In accordance with this understanding of fantasy,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s and features appearing in the narrative of MADAM ONG—a changgeuk, or traditional Korean Opera —and revealed its limitations.
    Appearing as a dead mother's "spirit" in the piece, Ongnyeo’s mother is a new figure not found in the original story, and is an illusionary character actively involved in the real life of Ongnyeo. The stories of Ongnyeo’s evil influence bringing about widowhood and her communication with the spirits of jangseung are reflected in the piece as she confronts Jangseung and puts her power into practice. The Jangseung is described as a personified “ghost” that creates a fantasy as i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the non-real, people and things. Because the work's emphasis is on "Jangseung=god," and the comic strip about Jangseung continues at the same time, it enables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Jangseung's features, unlike the original version. At the end of the work, the Jangseungs are brought down by the fire caused by Ongnyeo.
    The dimensions and limitations of fantasy embodied in the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fantasy, which expands when Ongnyeo’s mother meets the main character Ongnyeo, serves as a complaint against the vagaries of women's lives that have been repeated throughout the ages. However, the story related to the history of Ongnyeo having an evil influence and bringing about widowhood ends with the figure of Ongnyeo conforming to the patriarchal order, which is contrary to the preceding content depicting her power. Further, the fantasy of love that Ongnyeo dreams of is problematic as it is closer to escape or isolation from reality than active responses or subversion. Second, the illusory embodied form of Jangseungs is similar to the original in that it raises problems against the tyranny of the group.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specific determination—unlike the original story, where only Byeon Gangsoe was in the wrong, here, Hamyang Jangseung’s faults are revealed. These depictions, through fantasy, raise strong problems with group tyranny in a way that undermines the legitimacy of the decision to draft for “stiffness” or the act of requisitioning. However, there was no follow-up to that, and the illusion was lost because after the "death in the shape of a jangseung," it was downgraded as being too weak.
    Depicting a fantasy with unique laughter and humor can be considered a great aesthetic achievement of the Changgeuk MADAM ONG.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fantasy ended with Ongnyeo conforming to the patriarchal system and Byeon Gangsoe losing self-reli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