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 <두 나그네>를 활용한 문학치료학적 상담사례연구 -MMSS검사 분석과 ‘그림자’원형 이론을 배경으로- (A Case Study on Literary Therapy Using the Fairytale : Based on MMSS Examination Analysis and the “Shadow” Archetyp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이 연구의 목표는 민담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감정과 왜곡된 인지구조를 이해하여 이를 상담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학치료학에 MMSS자기서사진단을 겸하여 구체적인 진단과 함께 민담이 활용되는 방식의 구조를 내담자와의 대화를 통해 설명하였다. 민담은 언어적인 대화만으로 한계를 지니게 되는 기존 상담이론에 객관적인 시각과 거리감을 줄 수 있는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내담자가 민담의 서사에 자신의 감정, 생각, 상처, 문제 등을 쉽게 투사할 수 있다. 민담의 주인공에 감정이입을 하여 자신의 서사를 저항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민담의 원형성을 치료에 적용하여 내담자에게 치료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고 상담의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가설들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회기별로 정리하여 구조화하였다.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내담자는 자신의 여러 층위의 감정을 민담의 여러 주인공들에게 투사하였고 이에 대한 직면을 큰 고통 없이 수용하였다. 20회기의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기존의 속도감보다 훨씬 빠르고 현실적응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가설의 검증이 가능하였고 가설을 넘어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추후 연구로는 MMSS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겠으며 민담의 치료적 요인을 더욱 명료하게 밝히려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by understanding the emotions and distorted human factors of visitors using fairytales. The procedure of how fairytales are used, along with specific diagnoses, was explained through conversation with a visiting counserlor in addition to a group of the MMSS self-surveyors from existing literary therapy. The fairytales can be used as a device that can give objective views and distinctions to existing counseling theories that have limitations only with verbal dialogue. In addition, visitors can easily project their feelings, thoughts, wounds, and problems on the narrator of fairytal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mpathize with the hero of fairytales and express his or her own narrative without resistance. The archetypal nature of these fairytales can be applied to treatment to lower the burden of treatment to visitors and reduce the duration of consultation. To verify these hypotheses, clinician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arranged and structured in session. During the session, the visitor projected his or her different levels of emotion on the main characters of the fairytales and accepted without much pain the face of them. During the 20th session of the consultation, it was confirmed that progress was quicker and practical stress had increased. This allowed the hypothesis to be verified and gave positive results beyond the hypothesis. Further research will lead to more specific results through the MMSS dictionary and postmortem examinations and will clarify the therapeutic effects of fairytal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