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영어시간에 이루어지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기능 학습에 대하여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흥미와 어려움의 정도에 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10개 교육청 소속의 10개 공립초등학교 3~6 학년 학생 총 220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자료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기능과 학년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학교 영어의 네 기능 학습에 대한 전체적인 흥미도는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면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말하기, 읽기의 학습에 대하여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쓰기 학습에 대하여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의 빈도는 5․6학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5학년보다 6학년 학생이 쓰기를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얻
어진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영어의 네 기능 학습을 통하여 학생의 흥미를 높여주고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활동의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English classes focusing on their interest in, and difficulty with, learning
the four language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participants
were 2,204 elementary students from 3rd to 6th grade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the four language skills. Results revealed that as they got older,
the level of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increased, and the overall level of their
difficulty with the four language skills decreased except for writing skil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varied and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four language skills are need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and minimize their difficulties with, learning English.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