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가꾸기 사업’과 부산 안동네 마을의 변화 (Wall Painting Project and Its Impact on Andongne in Pus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1.11
32P 미리보기
‘마을가꾸기 사업’과 부산 안동네 마을의 변화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1호 / 263 ~ 294페이지
    · 저자명 : 조관연

    초록

    부산의 안동네는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빈곤한 산동네이다. 경제적으로는 벼랑 끝에 몰린 주민 대부분은 싼값에 시내 가까이에서 살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이곳에 정착했다. 이들의 삶은 가난 때문에 척박하였지만, 마을 주민은 다양한 어려움을 공동으로 겪으면서 끈끈한 유대감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다. 이 마을은 외지인이 거의 방문하지 않는 ‘비가시적(invisible)’ 공간이었는데, 2008년에 시작된 벽화그리기 사업은 이들의 삶을 많이 변화시켰다. 많은 대학생이 마을의 미화를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에서 주민은 정신적 유대감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자존감도 어느 정도 되찾게 되었다. 마을에 그려진 벽화가 2008년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을 수상하자, 많은 관광객과 공무원이 마을의 벽화를 보기 위해 방문하였다. 안동네는 이를 통해 ‘비가시적’ 공간에서 ‘가시적(visible)’ 장소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다양한 외지인들과의 유대와 연대도 새롭게 만들어졌다.
    다양한 형태의 행정적, 물리적 압력이 안동네 주민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지만, 벽화를 매개로 한 외지인과의 사회적 연대는 이들의 자존감을 어느 정도 회복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삶이 정상화되는 데 이바지했다.

    영어초록

    Andongne in Busan is a poor mountain town built on a public cemetery. Being in an economically extreme condition, most of residents have settled in this area because they can live close to the downtown with low cost. Even though their lives are rough due to poverty, they have some form of bonding together as they have shared many difficulties. This town was a invisible space where outsiders have seldom visited. Since the wall painting project started in 2008, however, their lives have considerably changed. Having watched many college students devote their time and efforts to the cleaning of the town, the residents not only felt psychological bonding, but also recovered some of their self-esteem. As the wall paintings in the town won the grand prize of the Korea Public Design Award, many tourists and public employees visited the town to see the wall paintings. Andongne was reborn as a visible place from invisible space, and various forms of bonding and connections with outsiders were newly established.
    Even though diverse forms of administrative and physical pressures made the residents' life miserable, the soci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rs with the help of wall paintings not only recovered their self-esteem, but also contributed to the normalization of thei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