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비유를 활용하여 역사 수업 읽기를 시도했다. 비유는 장식적인 수사적 표현에 머물지 않고 언어, 담론, 사유, 문화를 바라 볼 수 있는 범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유, 환유, 제유, 아이러니의 네 가지 비유에 담긴 사유 양식을 살피고 이를 통해 4·19혁명 수업을 비유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수업에서 ‘역사 읽기는 교훈 찾기다’, ‘하나의 사건이 역사를 말한다’, ‘역사의 장은 이 곳이다’, ‘역사는 진보한다?’는 역사 이야기를 찾을 수 있었다. 비유를 활용한 수업 읽기를 통해 역사 수업의 표층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미와 심층에서 ‘발굴’할 수 있는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유에는 가능성과 아울러 경계할 점이 있다. 바로 비유가 지배적인 사고 체계나 이데올로기에 대한 믿음을 확고히 하는 힘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 수업에서 비유를 활용할 때, 문제되는 가치를 잘못 이해시키는데 비유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런 가치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대항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비유 연구에 대한 많은 과제가 남아 있지만 본 연구를 시작으로 비유를 활용한 수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역사 수업의 심층을 보다 풍성하게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