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넘나드는 한인공동체와 동아시아의 평화 − 재일조선인과 중국조선족의 정체성 담론을 중심으로 − (The Korean Diaspora Crossing Boundaries and East Asian Peace: On the discourses of "Zainichi" Korean and Korean-Chine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0호 / 413 ~ 433페이지
· 저자명 : 백영서
초록
필자는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Korean’의 정체성을 재조명함으로써 한반도, 나아가 동아시아의 평화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주로 해외에 흩어져 있는 한인공동체의 존재에 대해 살펴보되 그 현상 자체보다는 그를 설명하는 데 동원되는 개념인 디아스포라를 축으로 담론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 글은,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일국적 경계에 속박된 국민적 정체성을 넘어 동아시아인으로서의 신체감각을 키우는 것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인공동체의 논의를 한반도의 분단체제의 극복과 숙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의 발전, 보편적 인권의 확립과 동아시아 평화라는 큰 과제에 결부시킴으로써, 오늘날 한국인을 묻는 일의 의미가 새롭게 부각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y re-examining the concept of the "Korean"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spora,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bringing abou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n peace. The study pays close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Korean diasporas mostly scattered abroad, with a greater focus on analyzing the diasporic discourses than on explaining the phenomenon itself.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crucial and necessary to develop a transnational East Asian somaesthesia or somaesthetic sensibility as cultivated by diasporic experiences. This approach aims to shed new light on what it means to inquire about the Korean identity by tying the issue of the Korean community to the bigger issues of the need to overcome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develop a deliberative democracy, establish universal human rights, and build East Asian peac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