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 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sympathy and solidarity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disgust and fear -Focused on The movie ‘Youth Police’ and ‘The Outlaw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4
21P 미리보기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 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27호 / 127 ~ 147페이지
    · 저자명 : 류찬열

    초록

    이 논문은 2017년에 개봉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둔 영화 ≪청년경찰≫과≪범죄도시≫가 조선족과 조선족 사회를 어떻게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영화가 어떻게 혐오와 공포의 재현을 넘어공감과 연대의 재현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2010년에 개봉한 영화 ≪황해≫는 조선족을 부정적인 집단으로 그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어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신세계≫ 역시 ‘조선족 거지’를 등장시켜 조선족을 부정적인 집단으로 묘사하는 데 일조했다.
    이후 한국영화는 ‘조선족 액션 느와르’라는 장르를 따로 설정해도 좋을 정도로 조선족을 잔인하고 끔직한 범죄 집단으로 그리는 데 몰두했다.
    영화 ≪청년경찰≫은 “편견의 완성판”이라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조선족밀집 거주지역인 ‘대림동’을 문화적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 아닌 혐오와 공포를 생산하는 불모성의 공간으로 묘사하고 재현했다.
    이 영화를 만든 김주환 감독은 “편견이라기보다는 영화적 장치”라는 말로논란을 피해가려 했지만, 오히려 “영화적 장치라기보다는 편견”이라는 말이더 실상에 가깝다. 따라서 영화 ≪청년경찰≫이 관객들의 무의식적 혐오와공포를 이용해 이데올로기적 조선족포비아를 조장했고 평가할 수 있다.
    영화 ≪범죄도시≫는 더 강한 악당(타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망상의 강화) 과 그에 맞서는 더 강한 영웅(자신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망상의 강화)의 대결구도를 극대화한 영화이다. 이 영화를 만든 강윤성 감독은 “'범죄도시'는 주민들이 강력반 형사와 함께 나쁜 놈을 잡는 이야기라 중국 동포 여러분들이불편해하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지만, 게토처럼 묘사된 조선족 거주 공간의 불결함과 황폐함, 사소한 다툼에도 칼을 뽑아드는 조선족들의 야만성과폭력성 등이 이러한 해명을 무색케 한다. 또한 주인공 마석도(마동석)가 ‘만화적 캐릭터’로 설정한 순간부터 ‘사회적 의미 탐구’를 포기하고 ‘영화적 재미 추구’에 집착한 것도 이 영화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처럼 조선족을 소재로 한 한국영화들은 아무런 의심 없이 조선족에 대한혐오와 공포를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은이러한 조선족에 대한 혐오와 공포가 ‘영화산업’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낼 정도로 파장이 컸다. 한 번 형성된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관념과판단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에대한 반성과 성찰은 지금 이 시점에서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질문의 방향을 조선족이 아닌 우리 자신에게 돌려야 한다. 다시 말해, ‘동포’와 ‘짱깨’라는 한국사회의조선족에 대한 한국사회의 이중성을 근원적으로 반성하고 성찰할 때, 비로소 한국영화가 조선족을 혐오와 공포의 대상이 아닌 공감과 연대의 대상으로 묘사하고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films "Youth Police" and "The Outlaws", which were opened in 2017 to commercial success, negatively portray and reproduce the Korean and Chinese communities, and show how Korean movies are beyond the reproduction of aversion and horror And to see if they can move forward with the reappearance of sympathy and solidarity.
    The movie ‘Yellow Sea’, which was released in 2010, played a crucial role in drawing the Korean-Chinese into negative groups. The movie ‘Shinsegae’, which was released in 2012, also helped to portray the Korean-Chinese group as a negative group by introducing the Korean ethnic group. Since then, Korean film has concentrated on drawing the Korean-Chinese into a brutal and horrible crime group so that it can set the genre of ‘Korean-Chinese action noir’ separately.
    The film ‘Youth Police’ can be said to be a “complete edition of prejudice.” The film portrays and reproduces ‘Daelim-dong’, a residential area of Korean-Chinese dynasty, as a space of inferiority and fear, not a space of possibility of discovering cultural diversity. The director of the film Kim Joo-hwan tried to avoid the controversy by saying, “Cinematic device rather than prejudice,” but rather “prejudiced rather than cinematic.” Therefore, the film ‘Youth Police’ can encourage and evaluate ideological Chaophobia using the unconscious aversion and fear of the audience.
    The movie ‘The Outlaws’ maximizes the confrontation between stronger villains (strengthening negative emotions and delusions against others) and stronger heroes (reinforcing positive emotions and delusions for oneself). Kang Yoon-sung, director of the film, said, “The Outlaws is a story about people catching a bad guy with a homicide detective. I do not think you will feel uncomfortable with Korean-Chinese compatriots.” The brutality and violence of the Korean-Chinese, who draw swords to the filth and desolation of the Korean-Chinese living space described as a ghetto, and to the small strife, disillusion this explana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 Ma Seok-do(Ma Dong-seok), has set as a ‘cartoon character’ has abandoned the quest for social meaning and obsessed with ‘pursuit of cinematic fun’.
    Thus, Korean films based on the Korean-Chinese do not doubt and reproduce the dislike and fear of the Korean people. The films ‘Youth Police’ and ‘The Outlaws’ were so wide that they expressed concern that the abhorrence and fear of these Korean-Chinese could be settled as ‘movie industry’. Reflections and reflection on the film ‘Youth Police’ and ‘The Outlaws’ are essential tasks at this point in the sense that negative thoughts and judgments about the once formed Korean-Chinese do not change easil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erroneous practice, the direction of the question should be directed to ourselves, not to the Korean-Chinese. In other words, when we reflect and reflect on the duality of Korean society to the Korean-Chinese people called ‘Korean people’ and ‘jjangkkae’, Korean films portray the Korean people as objects of sympathy and solidarity And can re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