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문환과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 민족주의와 자본주의를 넘어 (Choe Mun-Whan and the Problematic of Korean Sociology: Beyond Nationalism and Capital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7.02
37P 미리보기
최문환과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 민족주의와 자본주의를 넘어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1권 / 1호 / 399 ~ 435페이지
    · 저자명 : 정일준

    초록

    최문환은 한국 사회학 건설기의 1세대 사회학자로서 1950년부터 1961년까지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제 3, 4대 한국 사회학회 회장도 역임했다. 이후 서울대 상대교수 및 학장(1961-1966)을 거쳐 제10대 서울대총장(1966-1970)을 지냈다. 그는 사회학자였지만 사회학자이지만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최문환의 일본 유학시절을 돌아보고, 월러스틴의 사회과학 분과와 연구영역에 대한 분류와 부라보이의 공공사회학 논의를 기반으로 그의 사회학을 자리매김한다. 둘째, 그의 사회학을 사회사상(민족주의)과 베버연구(자본주의)로 나누어 구체적 내용을 고찰한다. 셋째, 시기별로 대학안팎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전문사회학자를 넘어서 비판사회학자, 정책사회학자 그리고 전통적 공공사회학자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문환이 한국 사회학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은 ‘한국’ 사회학의 문제틀을 제시한 것이다. 이상백이 분과학문으로서 사회학의 뿌리를 내렸다면, 최문환은 한국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한국 사회학의 문제의식이라는 씨앗을 뿌렸다. 그는 베버를 통해 한국 사회를 조망하는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리고 베버와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주어진 역사적, 사회적 과제를 피하지 않았다. 이 점이 그를 사회학자이면서 동시에 사회학을 넘어선 활동에 나서게 만들었다.

    영어초록

    Choe Mun-Whan, one of the leading 1st generation Korean sociologists, served as the professor in sociolog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1950 to 1961. He served as the 3rd and 4th president of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s well. In 1961 he moved to economics department and became the dean of a College of Commerce from 1961 to 1966. And he also was appointed as the 10th president of SNU from 1966 to 1970. Dr. Choe was a distinguished sociologist in his era, but his role as an intellectual was not confined in a narrow disciplinary boundary. In this article, first, his academic careers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studies was reviewed, analyzing his sociological position. By charting the social areas and corresponding social science disciplines by Wallerstein and by classifying division of labor among four different sociologies including professional, policy, critical and public sociology identified by Burawoy, Choe’s unique career as a professor and intellectual could be understood. Secondly, his two major research topics were substantially reviewed. One is main trends of Western Social Thoughts mainly focusing on Nationalism, while the other is introducing the problematique of Max Weber into Korea. Thirdly, his activities in and out of academia during the 1950s and 1960s were recognizable as that of ‘the traditional public sociologist.’ Dr. Choe’s major contribution to Korean Sociology is that he raised ‘the problematic of Korean Sociology.’ If Lee Sang-Beck institutionalized sociology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in Korean social science discipline, Choe pioneered establishing the Soci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by confronting contemporary Korea through the eyes of Weber. Moreover, same as Weber, he never had avoided any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him so that his attitude drove him to fulfill professional as well as political functions as an intellec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