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슬픔이 기쁨에게 ―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에 대한 논평 (From Sadness to Rejoicing ― Review on Lee ji-Sung's thesis Suffering of Othernes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06
15P 미리보기
슬픔이 기쁨에게 ―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에 대한 논평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63호 / 103 ~ 117페이지
    · 저자명 : 신응철

    초록

    이 글은 이지성 교수의 논문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에 대한 논평형식의 논문이다. 이 교수의 논문은 우리 사회, 특히 교육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고질적인 병폐 가운데 하나인 왕따 문제를 철학자의 시선, 윤리학자의 시선에서 진단하고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피해자/가해자/방관자의 견고한 고리를 풀어보려는 시도의 논문이다. 그간 철학이 사변적, 추상적, 비현실적이라는 비난을 익숙하게 들어오던 차에, 현실문제에 직접 개입하여 대응논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를 심어주고 있는 이 논문은 바로 그 점에서 높은 학술적 가치를 받기에 충분하다.
    이제 논평자는 이지성 교수의 왕따 문제와 관련하여 누스바움과 손택의 공감 감정 혹은 공감의 윤리에 대한 논의에서 몇 가지 사항을 추가하고자 한다. 누스바움과 손택의 공감의 윤리(학)의 계보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 애덤 스미스, 흄, 루소, 쇼펜하우어로 대표되는 ‘공감의 윤리학’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아가 이러한 기존의 공감의 윤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공감이론’을 주장하는 막스 셸러(Max Scheler 1874-1928)의 입장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와 덧붙여, 좋은 감정(공감, 사랑, 연민)을 배양하고 나쁜 감정(원한, 미움, 혐오)을 완화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공교육의 목표설정, 즉 소크라테스식의 문답식 교육과 타고르식의 예술 교육, 손택 식의 사진(예술) 교육 이외의 어떤 형태의 교육 모델이 가능할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review on Lee ji-Sung's thesis Suffering of Otherness. Her thesis dealt with bullying as a social evil exposed in our educational fields, especiall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she has discussed about bullying in terms of Philosophy or Ethics. Through that discussing, she was aimed to find a clue for resolution about bullying. Her thesis is sufficient for academic value because it suggested a logic of response and new perspective about the problem of bullying. And also, In that context, she has dealt with Martha Nussbaum and Susan Sontag's theory of Sympathy.
    Now I try to add some facts with respect to Lee ji-Sung's discussion about theory of Sympathy. Firstly, in terms of Martha Nussbaum's theory of Sympathy, what is the difference compare to Susan Sontag's viewpoint. Secondly, In genealogy of theory of Sympathy, what is the difference among traditional viewpoints, that is Adam Smith(1723-1790), David Hume(1711-1776), Rousseau, Jean Jacques(1712-1778), and Arthur Schopenhauer(1788-1860). On the other hand, Max Scheler(1874-1928) criticized traditional theory of Sympathy and insisted his new theory of Sympathy. Lastly, what kind of model of education can be possible in our educational fields comparing to Socratic Method and Sontag's on photo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