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매체의 여성 괴물 표현 중 하나인 마녀는 하늘을 날아다니며 마법을 부리는 흥미로운 존재로 그려지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마녀로 몰린 무고한 여성들을 산 채로 불태운 살육의 역사를 감추고 있다. 공포영화에서 남성 괴물이 늑대 인간, 뱀파이어, 좀비, 드라큘라, 프랑켄슈타인 등과 같이 치명적이지만 동시에 서사를 이끌어가는 매력적인 존재로 표현되는 동안 여성 괴물은 남성 괴물에게 희생된 결과물로 남겨졌다. 이러한 표현은 여성 혐오적 관점을 드러내 온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여성 괴물의 역할을 새로이 발견하고 해석하려는 시도 또한 존재한다. 여성 괴물과 남성 괴물의 차이는 그로테스크한 재생산성과 폭력적인 비체(非體) 표현으로 구분된다. 공포영화에 난무하는 피와 토사물, 그리고 훼손된 신체 등은 인간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폭력에 대한 무의식적인 두려움을 드러낸다. 반면 여성 괴물은 질, 자궁, 생리, 출산과 같은 여성 신체 고유의 특징과 변화, 그리고 스스로 생명체를 창조해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드러내고 의도된다. 우주 괴물 에일리언은 남성 생식기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또한 생명을 재생산해낼 수 있는 모체로 그려짐으로써 공포감을 증폭시킨다. 이처럼 공포영화에서 출산과 관련하여 아브젝션(abjection) 표현으로 강조하여 제시되는 방식은 모성과 생명 탄생에 대한 가부장적 신화와 통념을 흩어놓는다. 남성 주체의 시각에서 여성은 자궁과 질을 가진 불가해한 존재로서 오랜 신화와 문화에서 발견되는 ‘이빨 달린 질’(vagina dentate)과 같은 형태로 극대화된다. 그렇지만 이처럼 극단적인 표현들은 여성에게 덧씌워진 희생자 프레임과 반복되는 스테레오 타입을 벗어나 남근적 질서와 견고한 경계를 무력화시키고 공포와 혐오를 넘어설 여지를 남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매체에서 제시되는 여성 표현이 사회적 한계와 인식의 변화를 담고 있으며 여성 괴물을 통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Monstrous-Feminine appearing in video media is changing according to social perceptions of women. Monstrous-Feminine has been depicted as victims and outcomes of male monsters while male monsters are expressed as fatal, but at the same time attractive beings leading narratives, such as werewolves, vampires, zombies, Dracula, and Frankenstein. On the other hand, witches, who often appear in video media, one of the representative types of Monstrous-Feminine, perform magic and fly in the sky on a broom to bleach the truth. The real witch hunt in the real world is the history of slaughter that burned innocent women alive and is an ugly truth. On the other hand, “vagina dentate,” which is found in many myths and cultures for a long time, shows the male subject’s fear of attacking women. According to Freud, unlike men, women are imperfect beings with removed arm muscles and create castration fear as an indispensable being with the ability to create life. Therefore, Freud’s general film interpretation based on psychoanalysis interprets women as incomplete beings with a castrated penis or identifies long and empty spaces as vagina and uterus. In the same vein, Alien, designed in the form of a male genital, doubles the shock and hatred as it is depicted as a terrifying cosmic monster and a parent that reproduces life. Horror films overflow with non-body images containing blood, vomit, and damaged bodies, and add monstrous-feminine expressions such as childbirth secretions and menstrual blood as hateful abjections. Changes in the female body due to menstruation and childbirth are depicted as unfamiliar and fearful, and monstrous-feminine causes confusion and fear with their ability to create life on their own. However, such a special ability and state of a monstrous-feminine act as a factor that breaks the boundaries of the world and the southward order, away from the frame of female victims, which has been repeated in stereo types. In this study, through Kristeva’s discussion, the expression of monstrous-feminine in video media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women were examin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