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비즈니스학회
· 수록지 정보 : 비즈니스융복합연구 / 8권 / 1호 / 153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자영, 신세영
연구 대상은 퍼스널컬러진단 어플리케이션 중 잼페이스(zam face), 아이컬러(icolor), 코콘(cocon), 컬러버(color lover) 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GUI 요소인 아이콘,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를 분석요인으로 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와 GUI 요소의 특징을 분석하는 사례 비교·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아이콘은 텍스트형과 심볼형을 사용하였으며, 채도가 높고 명도가 높은 페일톤과 라이트톤, 브라이트톤, 비비드톤을 사용하였고 채도대비를 이루어 주목성과 명시성이 높다. 둘째. 레이아웃은 상단에 사용자 메뉴를 배치하였고 그 아래로는 브랜드 광고, 프로모션 배너 광고, 퍼스널컬러진단을 배치하였다. 하단에는 사용자 메뉴인 홈, 쇼핑, 마이페이지, 커뮤니티를 배치하였고, 하단의 메뉴는 화면에 고정되어있다. 화면은 기본적으로 위ㆍ아래 스크롤 하여 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셋째. 컬러는 비비드톤, 라이트톤, 브라이트톤, 페일톤이 주로 이용되었으며 난색 계열의 컬러를 이용하였다. 서브 컬러는 정보제공이나 안내문 등에 사용되며 무채색을 사용하여 가독성이 높게 디자인되었다. 넷째.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과 판독성이 우수한 고딕체를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고딕체의 두께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학술적인 측면으로 국내 퍼스널컬러진단 어플리케이션을 GUI의 관점에서 요소를 추출하여 퍼스널컬러진단 어플리케이션의 GUI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될 시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추후 퍼스널컬러진단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시 GUI 요소의 특징을 고려하여 단순하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시각적으로 주목성을 가진 아이콘, 복잡하지 않고 접근이 쉬운 레이아웃, 색채대비와 컬러 배색으로 가독성과 명시성이 높은 컬러, 고딕체를 사용해 가독성이 높은 타이포그래피를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Among the personal color diagnostic applications, jamface, eye color, cone, and color rubber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case comparison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pplication using GUI elements such as icons, layouts, colors, and typography. First, icons used text type and symbol type, and pale tone, light tone, bright tone, and vivid tone with high chroma and high brightness were used, and they have high attention and clarity by contrasting chroma. Second, the layout placed the user menu at the top, and below it, brand advertisement, promotion banner advertisement,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were placed. At the bottom, user menus such as Home, Shopping, My Page, and Community are arranged, and the bottom menu is fixed to the screen. Basically, the screen was moved by scrolling up and down. Third. Vivid tone, light tone, bright tone, and pale tone were mainly used as colors, and orchid colors were used. Sub-colors are used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notices, and are designed to be highly readable using achromatic colors. Fourth, for typography, a gothic body with excellent readability and readability was used, and the thickness of the gothic body was classified and used as necessary.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GUI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application by extracting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UI from the domestic personal color diagnosis application in an academic aspect. In practice, it can be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related applic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UI elements in the future,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applications by applying readable, explicit colors, and gothic text with simple and simple design.
·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