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퍼스널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패션이미지메이킹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20 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데이터는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다차원척도법, 다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신체이미지 5유형, 감각이미지 5유형, 감성이미지 6유형과 패션이미지 6유형이 도출되었다. 자신이 지각하는 신체, 감각 및 감성 이미지와 자신에게 어울리는 패션이미지간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패션이미지 유형에 따라 감성이미지 및 감각이미지의 영향에 있어서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차원적 퍼스널이미지는 패션이미지 유형별로 의미있는 관련성을 나타내어 맑고, 품위 있고, 강렬한 퍼스널이미지는 매력적인 패션이미지와, 심플한 품위를 나타내는 퍼스널이미지는 도시적인패션이미지가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박하고 단순하며 차분한 퍼스널이미지는 간결한 패션이미지와, 좀더 경쾌한 분위기의 퍼스널이미지는 활동적 패션이미지와 어울리며, 다양한 성향을 가진 경우에는 다문화의 복합적인 패션이미지가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엽고 여성적인 퍼스널이미지에게 소녀같은 패션이미지가 적절한 반면에 어둡고, 강한 경우에는 남성적인 패션이미지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적절한 패션이미지메이킹을 위하여 신체이미지뿐 아니라 오감에 기반을 둔 감각 및 감성이미지에 의한 다차원적 퍼스널이미지의 분석이 요구됨을 알려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tching fashion image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ersonal image.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females in the age of 20s.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five physical images, five sensory images, six sensitive images and six fashion images were identified.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nsory and sensitive images and fashion images.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sensory image had the strongest affect on fashion images except for attractive and girlish fashion images that were mainly affected by sensitive images. It was also revealed that multi-dimensional personal imag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profile of fashion images: a fine, alluring and intensive personal image associated with the attractive fashion image; more plain and alluring personal image with the urban fashion image; a relatively rustic, plain and calm personal image with simple fashion image; more casual personal image with active fashion image; an complicated personal image with multi-cultural fashion image; a bright and cute image with girlish fashion image; a dark and strong image with masculine fashion image.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that successful fashion image making is stemmed from not only physical image but also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ersonal image including sensory and sensitive imag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