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경자의 ‘나’와 ‘너’: 다와다 요코 작품에 나타난 인칭대명사와 자아의 문제 (The difficulties of calling ‘I’ and ‘you’: The problems of personal pronouns and I in Yoko Tawada’s text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2
29P 미리보기
월경자의 ‘나’와 ‘너’: 다와다 요코 작품에 나타난 인칭대명사와 자아의 문제
  • 초록

    다와다 요코는 독일어와 일본어, 두 언어로 글을 쓰면서 경계를 넘나드는 작가이다. 그의 문학적 관심은 언어 문제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논문은 그중 인칭대명사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작가는 일본어 문화권의 다른 경험을 바탕으로 인칭, 젠더, 그리고 단복수에 따라 분류되는 독일어의 공고한 인칭대명사의 체제를 상호문화적 시각에서 허물고있다. 1인칭에 대한 대명사가 복수로 존재하는 문화권에서 자기동일성의 문제를 겪은 작가는 독일어의 1인칭의 대명사의 단수 존재 현상에 대해 우선적으로 해방감을 느낀다. 그러나 작가는 곧 독일어에서도 창작자의 눈으로 1인칭 인칭대명사의 다양한 양태를 발견하거나 혹은 문학 텍스트에서 새롭게 만드는 실험을 시도한다. 특히 1인칭과 2인칭의 혼종화, 2인칭과 3인칭의 혼종화 시도는 독자에게 당혹감을 주며 인칭대명사의 존재와 기능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을 하게 만드는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와다의 문학에나타난 인칭대명사의 문제가 단순히 언어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서양의 공고한 ‘자아’에 대한 철학적, 문화정치적 문제를 건드리고 있음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때 자전적, 이론적 에세이뿐 아니라 소설 작품 『용의자의 야간열차』와 『벌거벗은 눈』에 나타난 인칭대명사의 실험을 예로 들어 작가가 1인칭, 2인칭, 3인칭의 경계를 넘나들며 소설의 화자와인물의 관계 및 서양의 확고한 자아관을 흔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Yoko Tawada is a writer crossing boundaries of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her experimental writing in German and Japanese languages. Her writing focuses on the theme of language as a media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and does it by discovering and producing the new possibilities of language, approaching it from her strange and hybrid perspective.
    This paper specifically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personal pronouns in her literary texts. The author breaks down the barrier of the established German and Japanese language pronoun system which pigeonholes the first, second, third person, gender, and singular/plural pronouns. Her new hybrid use is based on her experiences of the Japanese and German culture and shows the essence of intercultural literature. Tawada, originating from the Japanese culture, where the first person pronoun exists plural, feels the freedom at the existence of one single first pronoun in German language. But she makes experiments in hybridizing the first, second and the third person pronouns and brings the western philosophy of identity into question.
    This thesis attempts to show that the problem of pronouns in her literary texts is not merely a matter of language problem, but also relates to the problems concerning language philosophy as well as subject philosophy of the West. The text analysis handles her autobiographical and theoretical essays as well as the experiments of personal pronouns in the novels Suspect on the Night Train and Das nackte Au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