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다브넌트의 인간의 자유 선택 이해 (‘Liberum Arbitrium’ in the Theology of John Davena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2
34P 미리보기
존 다브넌트의 인간의 자유 선택 이해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65권 / 185 ~ 218페이지
    · 저자명 : 강효주

    초록

    학자들이 17세기 초에 있었던 존 다브넌트의 소위 말하는 “가설적 보편구원론”의 정체성에 대해서 논하면서 그것을 아미랄두스 주의의 선구자적인 입장이라고 하거나 초기 정통 개혁 신학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고 논의하였다. 전자의 입장을 가진 학자들은 구속의 범위에 대한 다브넌트의 입장이 모이 아미로에 의해 대표되어 지는 아미랄두스 주의와 거의 흡사하다고 주장하였다. 자유 의지 교리에 대한 그의 이해는 다브넌트의 구속의 범위에 대한 입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그가 주장하였던 “그리스도의 구속이란 모든 사람들이 믿는다면 그들 모두가 구원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라는 신학적 개념은 “모든 사람들이 믿는다면”이라는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 다브넌트가 모든 사람이 그들 자신의 자유 의지로 믿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의 입장은 그 당시 항론파의 주장과 별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그의 입장이 하나님의 중생하는 능력으로 역사하지 않으시면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는 그리스도의 구속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라면 17세기 초의 다른 정통 개혁 신학자들의 입장과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17세기 초의 유럽 교회 역사를 배경으로 다브넌트의 자유 의지에 관한 입장의 특징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의 저서들을 분석하면서 인간의 의지의 본성에 관하여 다브넌트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의지에 성령께서 어떻게 중생의 사역을 하시는지 다브넌트의 입장을 조사한 후에,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협력(co-operation)에 관한 견해를 연구하였다. 이런 주제들에 대한 다브넌트의 생각을 살펴본 다음에, 도르트 총회에서 영국 총대들의 입장이 어떠했는지 생각해 보고 다브넌트의 자유의지에 관한 신학적 입장이 존 카메론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은 자유의지에 관한 다브넌트의 생각이 카메론의 ‘가설적 보편구원론’과 다르고, 도르트 신경으로 표현된 17세기 초에 정통 개혁파 입장과 일관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hottest debates concerned the doctrine of the freedom of will during the life of John Davenant. Scholars, disputing the identity of John Davenant’s hypothetical universalism during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describe it as either forming a Proto-Amyraldian view or partaking of the tradition of Early Reformed Orthodoxy. The doctrine of free cho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his hypothetical universalism because his theological position, namely, Christ’s satisfaction is such if all believe all would be saved, can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what he meant by ‘if all believe’. Whether or not he really meant every unregenerated individual is capable to believe using his free choice is a significant issu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Davenant’s view on the doctrine of free choice. It begins with an assessment of Davenant’s works, demonstrating what he maintained regarding the nature of the human will. The study then investigates Davenant’s opinion concerning the regenerat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will. It finishes by examining his view on the co-operation of the human will with the divine grace. After surveying these issues, we will discuss about the British delegation’s view at the Synod of Dort and the question as to whether Davenant’s view differed from John Cameron’s. These investigations lead us to conclude where he stood with regard to free choice in the context of the early modern Euro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