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의 이념에서 주체성의 세계로: 냉전기 일본의 조선문학 연구와 조선어 (From the Ideology of Solidarity to the World of Subjectivity: A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Cold War Japan and Korean Langu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비평 / 27호 / 76 ~ 119페이지
· 저자명 : 장문석
초록
이 글은 냉전기 일본의 조선 인식을 조선어와의 관계 속에서 검토하였다.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는 동아시아 인민 연대를 주장하였고, 1970년대 김지하구원운동은 일한연대를 요청하였다. 두 가지 정치적 실천은 조선과의 연대를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조선을 정형으로 인식할 뿐 타자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정형화된 조선 인식은 쓰루미 슌스케의 실천에서 보듯, ‘일본어로 이야기되는 세계’를 벗어나지 않았고 연대의 이념에 머물러 있었다. 다른 한편, 가지무라 히데키, 오무라 마스오, 조 쇼키치 등은 연대의 이념에 거리를 두면서 주체성의 세계를 구성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들은 조선이라는 구성적 외부를 통해 일본인의 주체성을 재구성하였다. ‘조선문학의 회’는 조선어를 매개로 조선인의 주체성을 존중한 문학적 실천을 수행하였다. 이들의 조선문학 인식은 다양하게 분기하는데, 조 쇼키치는 조선문학을 ‘문학’으로 심화하여 이해했으며, 오무라 마스오는 조선문학을 통해 ‘조선’을 확대하여 이해했다. 상보적인 이들의 실천은 ‘조선어로 이야기되는 세계’의 역사성과 비균질성에 유의하고, 조선 민중의 생활을 존중하는 주체성의 세계를 지향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ed Japanese perception of Korea during the Cold War period concerning language. In the 1960s, the Japanese Joseon Research Institute insisted on the East Asian People’s Solidarity, and in the 1970s, the Kim Chi-ha Salvation Movement requeste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Although the two political practic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nsisted on solidarity with Korea, it was common that Korea was recognized with a stereotype and not as the other in those practices. As seen in Tsurumi Shunsuke’s practice, the stereotyped perception of Korea did not deviate from “the world spoken in the Japanese language” and remained in the ideology of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Kajimura Hideki, Omura Masuo, and Chou Shokichi explor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world of subjectivity while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 ideology of solidarity. They reconstructed the Japanese subjectivity through ‘constitute outside’ of Korea. The “Association for Joseon Literature” carried out the literary practice that respected the subjectivity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heir perceptions of Korean literature diverged in various ways. Chou deepened and understood Korean literature as a type of “literature,” and Omura expanded and understood “Korea” through Korean literature. Their complementary practices were aimed at the world of subjectivity that paid attention to the historicity and inhomogeneity of “the world spoken in the Korean language” and respected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