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조 왕건 친제親製 원주 흥법사지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A Study on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n Heungbeopsa templ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12
38P 미리보기
태조 왕건 친제親製 원주 흥법사지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31호 / 345 ~ 382페이지
    · 저자명 : 정성권

    초록

    원주 흥법사지에는 진공대사 충담의 탑비가 있다. 진공대사는 921년 태조 왕건으로부터 왕사에 임명되었으며 흥법사에서 주석하다 940년 입적하였다. 입적 직후 승탑과 탑비가 조성되었다. 탑비는 941년 건립되었고 태조 왕건이 직접 비문을 작성하였다. 태조 왕건시기 비문이 작성되거나 건립된 탑비는 모두 11개이다. 이 중 유독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만 태조 왕건이 친제하였다. 기존의 학설은 그 이유를 진공대사 충담이 심희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즉 심희로 대표되는 신라 불교의 정통성이 고려로 계승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태조 왕건이 충담비의 비문을 직접 작성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기존의 학설 이외에 진공대사 탑비가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등장을 신라의 유민들에게 알리고자 건립된 기념물의 성격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진공대사 탑비 비문과 비슷한 시기(940)에 작성된 「개태사화엄법회소」와 동시기에 건립된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탑비가 위치한 흥법사가 강원도나 경상도쪽의 구 신라 유민들이 개경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되는 병목과 같은 교통의 요지였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s located in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city. It was erected in 941. Kign Taejo, the First King of Goryeo Dynasty reconstructed the Zen Buddhist Heungbeopsa temple for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t was his wish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way of Zen, and along whith the neighboring Geodonsa Temple in Wonju and Godalsa Temple in Yeoju Heungbeopsa temple played a signigicant role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Jingongdaesa returned from studying in China and became the royal monk to King Taejo. It is said that when Jingongdaesa entered Nirvana in 940,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himself. The epitaph is an abstract from writings of King Taejong from the Taeng dynasty of China and carved onto the monument in the character style of Wang Huiji. The original monument was damaged, and the body of it including the stone coffin containing the ashes of Saint Jingongdaesa was moved to the National Museum in Seoul. The construction style is indicative of the ambitious spirit of the people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To explain that why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by himself, this article study about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at Gaetaesa that was built in 940. The Gaetaesa stone Buddha was made in the site that the Later pakje’s King surrender to Kign Taejo. In other words,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was built in the historical and symbolic site that Wnag Geon finally achiv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e same reason King Tajon built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n Heungbeopsa temple. Because Heungbeopsa temple is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It was a perfect place to propagate of new country-Goryeo Dynasty-newly bui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