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8권 / 199 ~ 235페이지
· 저자명 : 최진성
초록
본 연구는 후기세속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의 공적신앙에 관한 연구이다. 코로나19이후 및 후기세속화를 통한 오늘날 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을실천함에 있어서 필요한 개념들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분석함을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기세속사회의 특징과 공공신학에서의 중요한 주제들에 대한 개념정리와 함께, 지금까지 기독교교육학에서 다루었던 공적신앙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후기세속사회에서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공적신앙 활동을 위한 네 가지 영역과 여섯 가지의 지향점을놓고 앞으로의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즉 개인, 공동체, 사회, 온라인 영역과 함께 공존, 존중, 해석, 대화, 책임, 실천을 통한 후기세속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public faith of Christian education in postsecular society. I would like to present a new paradigm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and main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practicing Christian education in today’s society after Covid-19 and through post-secularization. To this end, the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s of post-secular society and important topics in public theology is presented, and the public beliefs studied in Christian education are organized, and based on this, a new direction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secular society is suggested.
This study presents the challenges of future Christian education with four areas and six directions for the activities of public faith. In other words, Christian education in post-secular society through coexistence, respect, interpretation, conversation, responsibility, and practice, along with individual, community, society, and online spher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