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의 소비자가 단순히 제품의 기능적 요소를 넘어 정서적, 감각적 가치를 중시하는 발전된 가치 소비를 배경으로 진행되었다. 소비자는 브랜드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감각적 경험을 통해 브랜드를 이해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인다. 2차 감각으로 전이된 공감각으로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 또는 제품을 반영했을 때 소비자에게 어떤 태도를 갖추게 하는지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전통 브랜드와 신생 브랜드 모두 감각적 체험을 활용하여 소비자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감정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연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며 감각적으로 나타낸 브랜드가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며 번 슈미트의 전략적 체험 모듈(SEMS)를 통해 최근 트렌드에 반영된 사례로 공감각적 브랜딩이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상호작용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연구 문제를 검증했다. 또한 공감각적 브랜딩이 단기적인 구매 의사 결정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브랜드가 소비자와의 정서적 연결과 감각적 몰입으로 일상 속의 기억에 남는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온, 오프라인을 활용한 감각적 경험의 확장은 브랜드가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공감각적 브랜딩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vestigates the evolving trend of value consumption, where modern consumers prioritize emotional and sensory values beyond the functional aspects of products. Consumers tend to form emotional bonds and gain sensory experiences with brands, leading to a positive perception of those brands. The research analyzes the attitudes consumers develop when a brand reflects its identity or products through synesthesia transferred to secondary senses. It also explores whether this approach enhances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Notably, both legacy and emerging brands increasingly focus on leveraging sensory experiences to strengthen their connection with consumers and elevate emotional satisfac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rands maintaining their intrinsic identity while employing sensory representation play a pivotal role in shaping comsumer brand attitudes. Through Bernd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the research examines recent trends and case studie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concerning synesthetic branding. Additionally, it confirms that synesthetic branding not only influences short-term purchasing decisions but also contributes to the long-term formation of sustained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is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brands to create memorable experiences embedded in daily life through emotional connections and sensory immersion with consumers. The expansion of sensory experienc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offers brands diverse opportunities to engage with consumer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further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synesthetic branding, suggesting it as promising avenue for enhancing brand-consumer interac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