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최근 공공행정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사회분야에 확산되고 있는 공적 가치란 개념을 화두로, 우리나라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의미와 기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글에서는 먼저 공적 가치의 개념을 고전적 개념과 현대적 개념으로 각각 분류하여 소개하고, 더 나아가 공공행정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부문, 방송언론 부문, 문화예술 부문에서 초점화되고 있는 공적 가치의 개념을 재개념화하여 제시하였다. 공적 가치의 개념과 재개념화 작업을 통해 본 글의 목적인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의미를 탐색하였다. 우선 스포츠교육학의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는 스포츠의 공적 가치, 교육의 공적 가치, 학문의 공적 가치를 각각 살펴보고, 이 3가지 공적 가치의 공통분모인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글에서 탐색된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의미와 특성은 스포츠교육에 관한 공적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써 우리나라 사회발전을 위해 교육적 가치 규범을 전달하는 도구적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글에서는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실천 영역에 대한 입체도를 제시함으로써 스포츠교육학의 학술적 및 전문적 활동에 대한 반성 작업을 제안함과 동시에 체육학 안과 밖에서의 스포츠교육학의 교육적 실천 영역의 확대를 주장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스포츠교육학의 실천 영역 확대가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활동으로 연결되기 위한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 기능을 교육적 기능, 문화적 기능, 통합적 기능 및 국제적 기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expanding concept of public value in most of areas as well as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public value in sport pedagogy in Korea. For doing this, this paper has classified the concept of public value into classical and modern concepts and re-conceptualized it throughout diverse concepts implemented in several areas (e.g., social welfare, media, & culture-arts). Thus, this paper has explored the meaning of public value in sport pedagogy for analyzing the common element among the public values of sport, education, and scholarship. The public value of sport pedagogy is conceptualized as ‘the discipline that has inquired the public knowledge and also that has been served the instrumental role for making better society’. In addition,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conceptual framework to extend the areas that can be applied the public value of sport pedagogy inside and outside in Kinesiology with reflection about academic and practical activity of Sport Pedagogy. Lastly, this paper has searched the multiple functions of public value in Sport Pedagogy such as educational, cultural, integrative, and global functions that could connect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activity of Sport Pedagogy into making the public value of Sport Pedagog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