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리코 사이토의 공(空) 미학과 하늘예술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f Yuriko Saito’s Analysis on the Aesthetics of Emptiness and Sky Ar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4.06
39P 미리보기
유리코 사이토의 공(空) 미학과 하늘예술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72권 / 104 ~ 142페이지
    · 저자명 : 염윤돌

    초록

    본고는 유리코 사이토가 연구한 「공(空)의 미학: 하늘예술」 (2017)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일상의 미학과 하늘예술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사이토의 일상미학과 하늘예술 사례 분석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일상미학의 ‘미학적 문해력’, ‘미적인 것의 힘’과 ‘도덕적-미적 판단’의 폭넓은 세계를 탐구하는 데 있다. 사이토는 현대 미학 이론을 통해 전통적인 예술 중심적 미학이나 무관심한 관조와 같은 특별한 경험에 기초한 미학을 비판하면서 그동안 일상에서 놓치고 있는 미적 경험의 일상 세계를 우리에게 인도한다. 사이토는 일상적인 것, 익숙한 것과 평범한 것을 낯설게 하고 경험하는 것이 우리의 삶의 질과 세상의 상태를 풍부하게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하늘과 천체 현상의 미적 감상과 시적 상상 및 실용적 측면에서 바라본 기존의 관습적 접근 방식과 달리, 일상에 익숙한 하늘과 천체 현상에 도전한 현대 예술작품의 사례들은 차이 구어 치앙, 아니쉬 카푸어, 안도 다다오, 데니스 오펜하임, 오토 피네와 제임스 터렐의 작품 등이 해당한다. 이러한 사례연구에서 사이토는 공의 미학을 통해 하늘예술이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미적 감수성과 경험을 계발하도록 도와준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부정적 미학, 관람환경과 공간디자인 이론, 가이아 가설, 들뢰즈의 생성이론과 정동 개념,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과 소외 개념을 하늘예술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사이토의 일상미학과 하늘예술 분석에서 논의하지 못한 한계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이토의 하늘예술 분석을 넘어 일상미학과 하늘예술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Yuriko Saito’s “The Aesthetics of Emptiness: Sky Art” (2017), a case study, from a critical view to extend the horizon of multiple discussions on everyday aesthetics and sky ar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broad world of ‘aesthetic literacy,’ ‘the power of the aesthetic,’ and ‘moral–aesthetic judgment’ regarding everyday aesthetics and sky art beyond Saito’s discussion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ky and emptiness. Unlike conventional approaches to the sky and celestial phenomena, contemporary art projects that challenge the sky and celestial phenomena that are familiar in everyday life are examined in Saito’s study, including works by Cai Guo-Qiang, Anish Kapoor, Ando Tadao, Dennis Oppenheim, Otto Piene, and James Turrell. These case studies explore how sky arts help to cultivate our aesthetic sensibility and experienc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emptines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article applies negative aesthetics, spectator-based viewing environment and spatial design, Gaia hypothesis, Deleuze’s theory of becoming and the concept of affect, and Lefebvre’s critique of everyday life and alienation to cases of sky art, and proposes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that were not discussed in Saito’s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