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이며 한국고유종인 묵납자루 Acheilognathussignifer를 대상으로 2011년과 2013년 4~6월 동안 산란숙주로 곳체두드럭조개를 선호하는 충북 괴산군 청천면 달천 일대 (괴산집단)와 작은말조개를 이용하는 충북단양군 어상천면 가대천 일대(단양집단)에서 조개 내 산란양상을 조사하였다. 괴산집단의 곳체두드럭조개가 단양집단의 작은말조개보다 각장이 크고 묵납자루의 알 및 자어도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괴산집단 묵납자루의 산란관 길이가 단양집단보다 길었고 인공 채란 수도 단양집단보다 많았다. 곳체두드럭조개는 4장의 반새 모두를 보육낭으로 사용하였고 작은말조개는 2장의 외반새만을 보육낭으로사용하였다. 괴산집단 묵납자루는 보육낭이 없는 곳체두드럭조개가 보육낭이 있는 곳체두드럭조개보다 알 및 자어 수가 많았으나 단양집단에서는 보육낭이 없는 작은말조개가보육낭이 있는 작은말조개보다 알 및 자어 수가 적게 보유하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영어초록
An endemic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known as using freshwatermussels for its spawning activity, much prefers Lamprotula leai in Dalcheon stream (Goesan population)and Unio douglasiae sinuolatus in Gadaecheon (Danyang population) stream, Korea. The spawningpattern between two mussels and one bitterling was carried out in two populations from April toJune, 2011 and 2013. L. leai in the Goesan population was bigger shell length and have more eggs,larvae or both with A. signifer than those of U. d. sinuolatus in the Danyang population. Also, A. signiferin the Goesan population appeared to have a longer ovipositor and lay ripen eggs more than those ofA. signifer in the Danyang population. Glochidium, a larval stage, of some L. leai in the Goesan populationwas incubated in all the demibranch, whereas for all of U. d. sinuolatus in the Danyang populationwas found in the outer demibranch only. For L. leai in the Goesan population, the eggs, larvae orboth of A. signifer were much more in the non-breeding mussels (giving no glochidium) than the breedingmussels having the glochidium. For U. d. sinuolatus in the Danyang population, in contrast, thenon-breeding mussels have fewer eggs, larvae or both less than the breeding on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