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의 두 곳 빈지(賓之)와 본피(本彼), 벽진(碧珍)의 뜻 (Binji (賓之), the name of two places in Gyeongju, and the meanings of Bonpi (本彼) and Byeokjin (碧珍))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08
35P 미리보기
경주의 두 곳 빈지(賓之)와 본피(本彼), 벽진(碧珍)의 뜻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2호 / 175 ~ 209페이지
    · 저자명 : 정연식

    초록

    빈지(賓之)는 신라 6촌 가운데 하나였던 본피부(本彼部) 돌기촌[珍支村]의 별명이다. 경주에는 두 빈지가 있었다. 하나는 과거에 돌기촌이라 부른 석계리 주변에, 또 하나는 괘릉 주변에 있었다. 석계리 주변 빈지는 경주 중심부에서 동면의 마을 가운데 가장 먼 곳에 있었고, 괘릉 주변 빈지는 노동3방에서 가장 먼 곳에 있었다. 한국에는 빈지라는 지명이 붙은 곳이 많은데, 모두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빈지는 멀리 떨어지다는 뜻의 일본어 hanare(離れ)의 원형인 고대일본어의 *pana와 함께 원시알타이어 *piŋa에서 유래되었다. 賓之는 멀리 떨어진 곳을 뜻한다.
    本彼는 후기상고음으로는 *pənpra로 재구된다. 本[*pən]의 음은 賓[*pin]과 유사하고, 彼[*pra]는 r-음운도치로 ‘벌’을 뜻하는 고대국어 *par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本彼는 ‘멀리 떨어진 벌’을 뜻한다. 한편 벽진가라[碧珍伽耶]는 후에 본피현(本彼縣)이 되었으므로 碧珍도 本彼와 연관되어 있다. 碧珍[*praktɯn]은 고대국어 *parktur을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碧[*prak]는 고대국어 *park를 표현한 글자이며 *park은 아득히 멀다는 뜻의 일본어 haruka(遙か)와 함께 멀다는 뜻의 원시알타이어 *phira-khV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珍[*tɯn]은 들을 뜻하는 *tur/*tɨr를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따라서 碧珍은 아득히 먼 들을 뜻한다.
    멀리 떨어진 곳 *pinʦi(賓之), 멀리 떨어진 벌 *pənpar(本彼), 아득히 먼 들 *parktur(碧珍)과 같은 고대국어는 모두 알타이어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Binji (賓之) was another name of Dolgi-chon (珍支村) in Bonpi-bu (本彼部), one of the six villages of Silla. There were two Binjis in Gyeongju (慶州). One was located around Seokgye-ri (石溪里) called Dolgi-chon and the other around Gwaereung (掛陵). The former was the farthest village in Dongmyeon (東面) away from the center of Gyeongju, and the latter was the farthest zone among three zones of Nodong (路東) in Dongmyeon. So many Bingjis in Korea are far off from the center of counties too. Binji derives its name from Proto-Altaic *piŋa meaning ‘separate, emit’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na-, prototype of ‘hanare (離れ)’ meaning separated.
    ‘本彼’ could be reconstructed as *pənpra in Late Old Chinese.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本[*pən] is similar to that of 賓[*pin] meaning ‘separated away’ and 彼[*pra] seems to be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 meaning ‘plain’ by r-metathesis. Byeokjin-gara (碧珍伽耶) was renamed Bonpi-hyeon (本彼縣), so 碧珍 seems to be related to 本彼. 碧[*prak] was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k, and it was derived from Proto-Altaic *phira-khV meaning ‘faraway’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ruka, prototype of ‘haruka (遙か)’.
    Old Korean *pinʦi (賓之) means far-off place, *pənpar (本彼) far-off plain, and *parktur (碧珍) faraway field. Three Old Korean words show the traces of Altaic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