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북아메리카 북서해안 일대 원주민의 곰-어머니 이야기 속 변신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같은 곰-어머니 이야기를 건국신화 속에 간직한 우리에게 웅녀를 비롯한 신화와 전설 속 곰-어머니의 이해에 또 하나의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북아메리카 북서부 일대의 원주민들은 곰에 이끌려 곰의 자식을 낳고 살다가 형제들에 의해 되돌아온 소녀의 이야기를 전승하고 있다. 가장 많은 이본의 유형은 거의 곰이 되었다가 다시 인간으로 되돌아온 소녀가 형제들의 강요로 곰 가죽을 쓰고 곰이 되어 숲으로 떠나는 후반부를 갖고 있으며, 서태평양 연안에 접한 내륙의 스키나 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침시안과 깃센 등 사냥꾼 부족들은 이러한 후반부가 없이 되돌아온 소녀의 자손들이 훌륭한 곰 사냥꾼 부족이 되었다는 결말을 보여준다.
<단군신화> 속 웅녀의 이야기가 천상계와 지상계를 매개하는 존재인 웅녀를 통해 정치사회적 위계 구조, 천상계의 권위 하에 지상계를 질서화하는 문화화의 과정을 보여준다면,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곰-어머니 이야기는 소녀가 곰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낳는 이야기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및 그 과정의 존재론적 변화의 의미를 담고 있다.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곰-어머니 이야기 속 소녀의 변신은 수성을 버리고 인성을 획득하고 신성한 가계의 일원이 되는 웅녀의 일방향적이고 불가역적 변화와 달리, 인간 여인이 곰이 되었다가 다시 인간으로 되돌아오거나 다시 곰이 되어 숲으로 떠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곧 양방향적이며 가역적인 변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신은 생물물질적 교환의 체계를 반영하며, 인간과 자연 간의 평등하고 상호적인 관계를 드러낸다.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곰-어머니 이야기는 평등한 관계인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두 존재 간의 등가 교환을 통한 존재론적 변화를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pattern in the story of the bear-mother of the natives living in northwestern North America and examine its meaning. It is hoped that it will give us another implication for the bear-mother in myths and legends, including story of Ung-nyeo.
Indigenous people in northwestern North America are telling the story of a girl who was led by a bear to give birth to children and was returned by her brothers. The type with the largest number of versions is that the returned girl has the second half, when her brothers are forced to wear bear skin and become bears, kill the brothers, and leave for the forest, and hunter tribes such as Tsimsyans and the Gitksans of the Niskaes, centered on the Skeena River basin inland along the western Pacific coast, explain whether the descendants of the girl who returned without the second half became a good bear hunter tribe.
If the story of Ung-nyeo shows the process of culturalization that orders the political and social hierarchy and the earthly world under the authority of the heavenly world through the humanization process of bears, indigenous people's story of a bear-mother in North America is a story of a girl who marries a bear and gives birth to two children, revealing the meaning of human-natural interactions and ontological changes in the process.
Unlike the one-way and irreversible change of Ung-nyeo, who abandons Mercury, acquires personality, and becomes a member of a sacred family, the transformation of a girl in the story of a bear-mother in North America appears in the form of a human woman becoming a bear, returning to human, or leaving to the forest as a bear. It appears as a two-way and reversible change. This transformation reflects the system of biological exchange and emphasizes the equal a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e story of the bear-mother of Native Americans reveals ontological changes through the equivalent exchange between two beings in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which is an equal relationship.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