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 구치 단일임플란트 수복에서 임플란트 길이에 따른 치관-임플란트 비율이 임플란트안정성 및 변연골소실에 주는 영향 (Influence of crown-to-implant ratio of short vs long implants on implant stability and marginal bone loss in the mandibular single molar impla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의 길이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crown-to-implant (C/I) ratio)이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량(MBL)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자로 하악 구치부에 단일치를 상실한 46명의 환자를 선별하였다. 대조군에는 총 19개의 직경 5.0 mm, 길이 10 mm의 임플란트(CMI IS-III active® long implant)를 식립하였고, 실험군에는 직경 5.5 mm, 길이 6.6, 7.3, 8.5 mm의 임플란트 총 27개(CMI IS-III active® short implant)를 식립하였다. 각각의 임플란트는 디지털 방식으로 술 전 제작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식립하였고 임시보철물을 장착하여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에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최종 수복하였다. 술 후 48주에 ISQ 값과 변연골 소실량을 측정하여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ISQ 및 변연골 소실량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 안정도 및 변연골 소실량 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술 후 48주에 측정한 두 그룹간 ISQ와 변연골 소실량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안정성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변연골 소실량 간에 어떤 상관관계도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결론: 두 그룹의 하악 단일 임플란트에서 치관-임플란트 비율은 안정성 및 변연골 소실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높이가 부족한 하악에서 단일 임플란트 수복 시, 짧은 임플란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치관-임플란트 비율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조건 하에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is to determine whether implant length and the crown-to-implant (C/I) ratio influence implant stability and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MBL). Materials and Methods: 46 patients with single tooth missing in the posterior molar region of the mandibl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9 implants (CMI IS-III active® long implant) of 5.0 mm diameter and 10 mm length were installed for the control group, while 27 implants (CMI IS-III active® short implant) of 5.5 mm diameter and 6.6, 7.3 or 8.5 mm length were plac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Each implant was inserted and immediately loaded using the digitally pre-fabricated surgical template and provisional restoration. The CAD-CAM monolithic zirconia crown was fabricated at 3 months after the surgery as a definitive restoration. The ISQ value and the MBL was measured at 48 weeks after the surger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I ratio, MBL, and secondary implant stability was analyzed. Results: Successful results in terms of ISQ and MBL were achieved with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ISQ values and MBL at 48 weeks after the surgery (P > 0.05).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I ratio and secondary stability as well as the C/I ratio and the MBL (P > 0.05). Conclusion: The influence of C/I ratio in both groups was not shown on the stability nor the marginal bone loss in implants supporting single crown of the mandible. Short implant could be a preferable alternative option in the reduced bone height mandible under the limited condition despite its higher C/I ratio.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