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적 수중-복합 운동이 여성고령자의 등속성 근 기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aquatic-complex exercise 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는 부가적 수중-복합 운동이 여성 고령자의 근기능과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거 3개월 동안 유산소성 운동을 지속해온 대상자를 2개 집단으로 나누어 12주간 부가적으로 수중-복합 운동(n=17, 73.72±3.02세)과 유산소성 운동(n=16, 72.50±2.87세)을 하도록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12주간의 운동 전후에 걸쳐 근기능과 골밀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반복 이원변량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중-복합 운동이 근력/지구력, 요추 및 대퇴 상부돌기 골밀도에 더 효과가 있었지만, 유산소성 운동은 이들 변인에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의 저항성 강도와 환경을 고려한 수중-복합 운동이 여성 고령자의 근력/지구력과 골밀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aquatic-complex exercise (ACE) on the strength/enduranc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aerobically exercised older women. There were 2 groups: ACE group (n=17, 73.72±3.02 yrs) and aerobic exercise (AE) group (n=16, 72.50±2.87 yr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regular exercise for the preceding 3 months. Muscular strength, endurance, and BMD were also evaluated at before and after 12-week program.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were calculated, and repeated two-way ANOVA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fter 12 weeks exercise, ACE group was better than AE group on isokinetic strength/endurance of knee joint muscles, and BMD of lumbar spine and femur trochanter. Second, however AE group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in muscular strength/endurance, and BMD.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ACE with considerations of the exercise resistance intensity and environment may be of effective to muscular strength/endurance and BMD in the postmenopausal and elderly wome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