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골두 골단 분리증은 내분비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다발성 관절통을 호소하면서 내원한 14세 남아가 일차성 부갑상선 항진증에 동반된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으로 진단되었다. 이환된 부갑상선을 제거한 후 혈중 칼슘의 수치는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부갑상선 호르몬의 높았던 수치도 급격히 호전되기 시작하였다. 양측 대퇴골두는 경피적 핀 고정술(pin-in situ)을 통하여 더 이상의 전위를 방지함과 더불어 골단판 유합을 유도하였다. 제거된 종양은 부갑상선 선종(adenoma)으로 밝혀졌으며, 이후 대퇴골두는 골단판 유합을 얻었고 경골 원위부의 확장되었던 성장판도 제 모습을 회복하였다.
영어초록
Slippage of the upper femoral epiphysis can occur in association with endocrine disorder. A 14-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pain on multiple joints including both hips, was diagnosed with bilateral slipped femoral epiphysis due to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t a single operation, the epiphyses were pinned-in situ, and the tumor was removed. After parathyroidectomy, the calcium and the parathyroid hormone levels promptly resolved. The pinning-in situ of both femoral heads was don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urther displacement of the femoral epiphyses, and we aimed for epiphysiodesis. The permanent biopsy of the tumor was parathyroid adenoma. The physes of both femoral heads were closed and the widened physes of both distal tibias resolved postoperativel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