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31권 / 3호 / 259 ~ 266페이지
· 저자명 : 강영한, 감신
초록
연구목적 :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골밀도의 감소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서 생활습관과 식습관 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건강검진 수진자 총 1204명(남자 364명, 여자 840)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너지X선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골량감소군으로 분류하여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골밀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과 체중, 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식사, 폐경여부 등을 조사하여 통제변수로 이용하였다. 골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대한 교차비를 남녀 성별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전체 364명 중 100명(27.5%)이 대사증후군의 기준을 만족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36.2%, 16.2%였으며, 여자의 경우 전체 840명 중 137명(16.3%)이 대사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15.5%, 17.2%였다. 잠재적인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에서 골밀도 감소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남자 골밀도가 정상인 군의 교차비를 1.00으로 볼 때 골량감소군의 교차비는 3.07(95% CI=1.83-5.16)로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이 3.07배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5가지 기준들의 유병률과 골량감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남자의 경우 높은 체질량지수와 낮은 HDL은 골량감소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높은 체질량지수에서만 골량감소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골밀도의 평균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남자는 골밀도 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가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골밀도가 연령에 비해 경미하게 감소하더라도 대사증후군과 동반될 위험이 있고, 예방적 차원에서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을 함께 고려하여 생활습관 및 식생활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골밀도의 감소요인과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계 질환 등의 질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204 adults(males: 364 females: 840) in a general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They were grouped into the normal and lower BMD group according to bone loss(osteopenia, osteoporosis), as determined by duel energy X-ray absorptiometery(DEXA).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BMD and metabolic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age, weight, alcohol intake, smoking, regular exercise, regular intake of meals, and menopausal status,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gender were calculated for lower BMD.
Results : After adjustment for the effect of potential covariat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bone loss in men(p<0.001). If the odds ratio of normal group is 1.00, then that of the lower BMD group is 3.07(95% CI=1.83-5.16). The prevalence of metabolic alterations fitting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 BMI, Low HDL in men and in High BMI in women(p<0.05).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BMD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Further studies needed to obtain evidenc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BMD and metabolic syndrom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