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31권 / 4호 / 367 ~ 378페이지
· 저자명 : 박성옥, 이인자, 신귀순
초록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해준 268명(여성 136명, 남성 132명)의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BMD)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lumbar spine)와 대퇴경부(femoral neck)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의 평균키는 155.8±6.0cm, 평균체중은 56.8±7.9kg, 평균체질량지수는 23.4±3.1kg/m2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평균키는 169.1±6.0cm, 평균체중은 69.0±9.5kg, 평균체질량지수는 24.1±2.7kg/m2이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감소되었으며, 연령과 골밀도는 매우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1). 그러나 여성의 골밀도는 50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되는데 비해, 남성의 골밀도는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남녀 모두 요추의 골밀도가 대퇴경부의 골밀도보다 낮았다.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대체로 높아졌으며, 특히 50대에서는 뚜렷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골밀도 범주의 분포를 보면, 여성은 40대까지는 정상이 대부분이었으나, 50대에서는 정상과 골감소증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60대 이상에서는 골다공증이 많았다. 그러나 남성은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대부분 정상의 골밀도 범주에 속했다.
커피나 탄산음료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음주는 영향을 주었다. 음주집단이 비음주집단보다 골밀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관련성(p<0.05)을 보였다. 또한 흡연과 운동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영어초록
We studied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body mass index (BMI), coffee, carbonated drink, alcohol, smoking, and exercise in adults who checked in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total 268 persons (women of 136 persons and men of 132 persons). The BMD was determined in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we got some results as below :
1. In women, mean body height was 155.8±6.0cm, mean body weight was 56.8±7.9kg, and mean BMI was 23.4±3.1kg/m2. In men, mean body height was 169.1±6.0cm, mean body weight was 69.0±9.5kg, and mean BMI was 24.1±2.7kg/m2.
2.BMD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the age was the most determinant factor for BMD (p<0.01). Women's BMD decreased rapidly in the groups aged ≥50s, while men's BMD decreased gradually with age. In addition, for both sex, lower BMD was measured in lumbar spine than in femoral neck.
3. BMD increased in high BMI, and BMD with BMI increased distinctly in the group aged 50s.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4. In view of the distribution by three BMD categories, women's BMD was mostly normal in the groups aged ≤40s, but the rat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as similar in the group aged 50s, and the rate of osteoporosis was the highest in the groups aged 60s and 70s. Men's BMD was mostly normal through all groups except the group aged 70s.
5. Coffee and carbonated drink were not influenced in BMD. But alcohol-drinking group showed higher BMD than non-drinking group, and alcoh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MD (p<0.05). Smoking and exerci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BM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