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복부 장기에서 생긴 골외형질세포종양의 호발 장기 및 영상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5년 1월까지 골수를 제외한 복부 장기에서 생검 및 수술을 통해 형질세포종양으로 확진된 8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4명; 평균연령, 50.6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합의하에 후향적으로 CT, 초음파 및 소장투시영상을 분석하여 침범된 복부 장기와 병변의 수, 크기, 경계면, 조영증강 정도 및 림프절 종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과: 4명은 다발골수종 환자였고 4명은 골수외 형질세포종 환자였다. 병발된 복부 장기는 간(n = 4), 비장(n = 4), 림프절(n = 3), 위(n = 1), 소장(n = 1), 대장(n = 1) 이었다. 간침범은 균일한 음영의 경계가 분명한 단일 종괴형(n = 1), 다 결절형(n = 1), 그리고 간비대형(n = 2)의 소견을 보였으며, 비장 및 림프절 침범은 균일한 음영의 비장 종대 및 림프절 종대의 소견을 보였다. 위, 소장, 대장 등의 위장관 침범은 균일한 음영의 미만성 장벽 비후나 종괴의 형태로 보였다.
결론: 골외형질세포종양이 복부에서 병발할 때 주로 간, 비장, 림프절에 병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을 침범한다. 형질세포종양을 진단 받았거나 의심하는 환자에서 복부 장기에 경계가 분명한 균일한 음영의 병변이 있다면 형질세포종양의 침범을 고려하여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