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각예술로 간주되는 음악에서의 기본적인 활동인 감상이 학교수업에서는 어떻게 수업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에 관한 실태파악을 위한 기초연구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등음악교과서의 감상제재곡과 학습목표,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중학교 음악 감상 제재곡 분석을 통하여 학습목표와 이를 성취하기 위한 활동의 연계를 살펴보고 효율적인 감상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음악감상활동이 수행되는 학교 음악 수업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감상영역의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14종의 음악교과서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감상수업을 위한 논의를 덧붙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 basic study on how appreciation, a basic activity in music regarded as auditory arts, is being shaped into a class in school classes, and looked at the appreciation sanctions, learning goals and activities of secondary music textbooks reflecting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link between the learning goals and the activities to achieve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middle school music appreciation songs and to draw suggestions for efficient listening classes.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contents of the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the standard for music listening activities, and analyze 14 music textbooks that are applied with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n 2015, and finally add discussions for efficient listening class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