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慶州花谷遺蹟出土기와의 需給과 歷史的意味 (The supply/demand and meaning of roof tiles excavated at Hwagok-ri, Gyeongj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11
26P 미리보기
慶州花谷遺蹟出土기와의 需給과 歷史的意味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67호 / 64 ~ 89페이지
    · 저자명 : 이동주

    초록

    경주 화곡유적은 5세기 후반부터 9세기까지 토기와 기와를 생산한 신라의 대단위 공방유적이다. 기와는 6세기 전반부터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생산된 물품들은 주로 왕경내 월성과 안압지 등에 공급되었다. 상대편년에 유리한 수막새는 모두 27점이 출토되었지만 암막새는 단 1점도 출토되지 않았다. 수막새는 제작기법과 문양에 따라 7형식 8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그간 화곡유적은 신라 기와의 기원과 관련해서 주목을 받아 왔다. 조사결과 가장 이른 시기의 고식수막새의 경우 제작기법에서 한성기 백제양식이 인정되므로 기와제작에 백제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고 있었음이 감지된다. 한편 이곳에서 출토된 수막새 가운데 동범와 2종이 군위 인각사에서 출토되어 주목된다. 그 가운데 1종은 신라 문무왕 19년(679년)에 제작된것으로 인정되는 소위 중판연화문(화곡 4B형식) 수막새이다. 따라서 이 기와를 통해 인각사의 창건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자료로 주목된다.
    중판연화문 수막새는 통일기 신라에 처음 등장하는 새로운 양식의 기와이다. 이 기와는 주로 문무왕의 대규모 토목공사와 관련된 자료로 이해된다. 통일기를 맞아 신라 왕경은 대대적인 개조가 이루어진다. 특히 월성과 안압지의 修築, 사천왕사나 봉성사의 落成등은 중대왕실의 의도적인 왕경개조와 관련이 깊다. 즉 문무왕에 의해 단행된 왕경의 개조에 사천왕사나 봉성사는 서로 대척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사원은 향후 성전사원이 된다. 이 사찰들은 왕경의 사방 官道의 입구에 의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성전사원에서 베풀어진 의례는 국가의례로서 신라의 전국토를 상징하는 것에 다름아니다.
    왕경의 개조에 즈음하여 망성리와요지와 인근 화곡유적에서도 적극적으로 기와를 생산하여 권위건축물에 공급되었다. 한편 궁궐이나 중요사찰에만 소비된 기와가 인각사에서도 출토되었다. 이 기와는 주로 왕경내 핵심건물에 공급되었는데,인각사의 창건에 중대왕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인각사 창건의 배경에는 사찰이 위치한 지리적 중요성이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 선상에서 거의 동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군위 삼존불의 존재도 염두에 둘 수있다. 즉 이 시기 신라 북부지역에 대한 중대왕실의 적극적인 佛事활동이 감지된다.
    화곡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는 연대 가늠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생산지에서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와요지에서 출토된 기와들의 연대추정은 물천리나 화천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부 조사되었거나 지표상에 수습된 기와를 토대로 산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생산공간, 제작공간, 폐기공간이 입체적으로 조사된 화곡유적의 의의는 여기서 찾아진다.

    영어초록

    The Hwagok-ri site in Gyeongju is the remains of large-scale workshop during Shilla kingdom which operated from late 5th century to 9th century. Mainly earthenware and roof tiles were produced at this workshop and they were supplied to Wolseong palace and Anapji pond in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It is possible to find 8kinds of convex tiles in 7 different types at Hwagok-ri site; while no concave tile was found. The Hwagok-ri site has received attention till now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Shilla roof tiles. The investigation dur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roof tile manufacturing at Hwagok-ri site received strong influence of Baekje kingdom because Hanseong period Baekje style is acknowledged in the ancient style convex tile found at Hwagok-ri site. It should be also note that 2 kinds of convex tiles found here were also excavated at Ingak-sa temple at Gunwi. One of the two found at Ingak-sa is a convex tile with double-layer lotus flower pattern, which is acknowledged as having been manufactured in A.D. 679, the 19th ruling year of Shilla King Munmu. Accordingly, the roof tile can be also used in guessing the building year of Ingak-sa(麟角寺) Buddhist temple.
    The Shilla kingdom capital had large-scale reconstruction during the ruling of King Munmu. The completion of Sacheonwang-sa(四天王寺) temple and reconstruction of Wolseong and Anapji are related to the intentional reconstruction of kingdom capital by the middle period royal family of Shilla.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Hwagok-ri roof tile workshop also actively supplied roof tiles to these reconstruction works. Furthe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ing Muyeol line in Buddhist rituals can be confirmed in the construction of local temples including the example of Ingak-sa temple at Gunwi,Like this, the roof tiles excavated at Hwagok-ri site enables the guessing of manufacturing year relatively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roof tiles. Till now, the manufacturing year guessing of roof tiles excavated at kiln remains was mainly done by roof tiles collected from ground surface or only a portion of them was guessed for manufacturing year, excluding the roof tiles found at Mulcheon-ri(勿川里) and Hwacheon-ri(花川里).
    Therefore, the Hwagok-ri site has significance because the production space, manufacturing space and scrapping space of the site have been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