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에는 1년에 한 번 이상 북경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던 외교 사절의 행차, 즉 燕行이 있었다. 조선 시대 연행을 다녀온 사신들은 외교적인 업무만 본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적들을 살펴보고, 목록을 작성하고, 또 구입을 하였다. 이에 중국 서적의 조선 전파를 연구하려면 연행록을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연행록 관련 연구가 최근 활기를 띄고는 있지만 연행록에 기록된 소설⋅희곡 목록과 관련 상황을 전문적으로 살펴 본 연구는 아직 눈에 띄지 않는다. 본 논문은 18세기 연행록에 등장하는 소설⋅희곡 목록 관련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고전 소설⋅희곡의 조선 유통에 대한 지평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이번 연구 결과 18세기 연행록에 보이는 명대 이전 소설⋅희곡 작품은 20종, 명대 작품은 19종, 청대 작품은 13종의 관련 기록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리고 ‘5장 기타 소설⋅희곡 관련 목록’에서는 저자, 시대와 내용이 미상인 소설 작품들과 더불어 우리나라 고소설 및 소설⋅희곡 관련 용어들의 등장을 소개하였다. 특히 ‘소설’이란 용어가 나온 부분을 통해 당시 중국의 설서와 貰冊 상황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게 하였고, 戱劇의 공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홍대용의 기록을 통해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Joseon emissaries made records of and purchased various books when they visited China. Recently, despite remarkable outcomes stemming from research on Yeonhaengrok,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into Chinese novels and dramas.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circulation of Chinese novels and plays to Joseon, this study examines records of Chinese novels and dramas which appeared in 18th century Yeonhaengrok. As a result, 20 pre-Ming dynasty books, 19 Ming dynasty books and 13 Qing dynasty books which appeared in 18th Century Yeonhaengrok were uncovered. As well as records of the titles of Chinese novels and dramas, this study also introduces significant details of the novels and dramas themselv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