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元雨의『九曲散稿』와 堤川 (‘Gugok-sango’ and Jecheon of Lee Won-wo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12
30P 미리보기
李元雨의『九曲散稿』와 堤川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6권 / 211 ~ 240페이지
    · 저자명 : 최식

    초록

    確齋 李元雨(1880~1962)는 제천 출신으로 毅堂 朴世和와 晦堂 尹膺善의 문하에서 수학한 인물이며, 『九曲散稿』 필사본 8책이 전한다.
    『구곡산고』는 본래 草稿本이 詩稿 2책(第一,第二), 雜稿 3책(第三,第四,第五), 語錄/經義問答 1책(第六) 총 6책이다. 이후 詩稿 1책(第三 題簽)과 經義問答 1책(第六 題簽)이 추가되어 현재의 改稿本 8책으로 전해지게 된다. 그런데 『구곡산고』는 초고본이 완성된 이후, 수차례에 걸쳐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진다. 현전하는 『구곡산고』 8책은 改稿本으로 詩稿 3책(第一,第二/第三 題簽), 雜稿 3책(第三,第四,第五), 經義問答 1책(第六 題簽), 語錄/經義問答 1책(第七 題簽)이다.
    『구곡산고』 第三(題簽)은 第一․第二가 시체별로 나란히 배열된 것과는 달리, 시체별 구분도 없고 창작시대도 뒤죽박죽 뒤섞인 상태이다. 이는 『구곡산고』 초고본 詩稿 2책에 누락된 작품을 수습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草稿本 이후 추가로 詩稿를 완성하여 題簽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곡산고』 第六 經義問答(課程)은 1911년 여름에 작성한 이후,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서 草稿本 語錄/經義問答 1책으로 되었고, 이후 經義問答(課程)을 추가하여 第六으로 題簽하여 草稿本 語錄/經義問答 1책도 第七로 題簽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원우는 제천을 대표하는 명승지 여덟 곳을 선정하여 그 풍경과 감회를 한시로 남긴 바 있다. 堤川八景으로, 林湖釣叟[의림지에서 낚시하는 노인]․蓮寺歸僧[백련사로 돌아가는 스님]․帒巖游魚[대바위에서 노니는 물고기]․瀾亭鳴灘[관란정의 우는 여울]․碧樓秋月[한벽루의 가을 달]․綾江春帆[능강의 봄 배]․玉筍奇石[옥순봉의 기암괴석]․月嶽晩楓[월악산의 늦은 단풍]이 그것이다.
    이원우는 1904년 제천의 서쪽 단계로 이사하여 1905년 단계구곡과 관련한 「단계구곡기」를 기록하고, 1910년 제천 남쪽 구곡리의 요옥동으로 이사하면서 「요옥동기」를 서술하고, 1924년 堤南九曲과 관련한 「堤南九曲記」를 작성한다. 특히 이원우의 구곡 설정은 박세화의 용하구곡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후학 양성과 강학 활동의 공간이자 시문을 창작하는 배경을 이루고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Gugok-sango’ with 8 books of manuscript. Lee Won-woo was from Jecheon and was a student of Uidang Park Se-hwa and Hoidang Yoon Yong-seon.
    Originally, ‘Gugok-sango’ had its initial draft for a total of 6 books with 2 books of draft poem (No. 1 and No. 2), 3 books of miscellaneous script (No. 3, No. 4 and No. 5) and 1 book of quotations/Gyeongui Inquiry/Response (No. 6). Thereafter, 1 book of draft poem (No. 3 Tiqian) and 1 book of Gyeongui Inquiry/Response (No. 6 Tiqian) were added to hand down to the present 1 book of edited version. However, after completing the initial draft, ‘Gugok-sango’ has a number of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done. The presently existing 8 books of ‘Gugok-sango’ are the edited version and comprised with 3 books of draft poem (No. 1, No. 2 and No. 3 Tiqian), 3 books of miscellaneous script (No. 3, No. 4 and No. 5), 1 book of Gyeongui Inquiry/Response (No. 6 Tiqian) and 1 book of quotations/Gyeongui Inquiry/Response (No. 7 Tiqian).
    Unlike the fact that No. 1 and No. 2 are arranged side by side for each poetry theme, ‘Gugok-sango’ No. 3 (Tiqian) has no classification for each poetry theme and the time oTranslation of Yeonhaeng-rok into Korean language of creative work is also mixed in chaotic fashion. It implies that the works omitted on 2 books of ‘Gugok-sango’ with initial draft poem is collected. Therefore, the draft poem was considered to be added after the initial draft for the Tiqian. In addition, the ‘Gugok-sango’ No. 6 for Gyeongui Inquiry/Response (process) was made for 1 book of initial draft for quotations/Gyeongui Inquiry/Response through several corrections after it was drafted in the summer of 1911, and Gyeongui Inquiry/Response (process) was added thereafter to have 1 book of initial draft for quotations/Gyeongui Inquiry/Response with No. 7 Tiqian and No. 1 Tiqian.
    Lee Won-woo selected Eight famous places that represent Jecheon and left Chinese poems with their sceneries and sentiment. For the Jecheon Eight Grand Views, there are, Limhojosu [An Old Man Fishing in Uilim-ji], Ryeonsagwiseung [A Monk Returning to Baekrueon-sa], Daeamyueo [Fish Swimming around Daebawi], Ranjeongmyeongtan [Howling Yeowool of Gwanran-jeong], Bueokruchuwol [An Autumn Moon of Hanbyeok-roo], Reunggangchunbeom [Spring Boat of Dong-gang], Oksungaseok [Strange and Weird Rocks of Oksun-bong] and Wolakmanpung [Late Foliage of Wolak-san].
    Lee Won-woo moved to Dangye in the west of Jecheon in 1904 and recorded 「Dangye Gugokgi」 related to the Dangye Gugok in 1905, and while he was moving to Yeook-dong of Gurok-ri on the western Jecheon in 1910, he authored 「Yeook-donggi」, and worked on 「Jenam Gugokgi」 related to Jenam Gugok in 1924. In particular, the Gugok setting of Lee Won-woo has close ties with Yongha Gugok of Park Se-hwa. Therefore, it is acknowledged as the phase to step toward the right-of-way by succeeding Muui Gugok of Zhu Xi, Seokdam Gugok of Yi Yi, and Yongha Gugok of Park Se-hwa, and Gugok is perceived as the space to enlighten the reason for all things found in nature, and use the same as the space of nurturing younger scholars and activities of teac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