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冥과 栗谷의 道佛觀 (Nam-myeong and Yul-gok's Viewpoint of Taoism and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南冥과 栗谷의 道佛觀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19권 / 81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수

    초록

    남명(1501-1572)과 율곡(1536-1584)은 조선 중기에 각각 하나의 학파를 창시한 인물이다. 그들의 학문이 갖는 독특한 성격이 학파의 독창성을 형성하였다. 본고에서는 그들 학문의 독특성에 불교와 도가의 사상이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들은 각각 살아서부터 학문에 이단적 성향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고, 사후에는 문묘종사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다시 이러한 점이 심각한 문제로 거론되었다. 남명은 결국 문묘에 종사되지 못하였고, 율곡은 종사와 출척이 반복되었다.
    남명의 사상에는 장자(莊子)적 요소가 산재해 있는데, 이것은 그가 처사로 일생을 살면서 장자의 호방한 자유인의 기상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는 승려들과 상당한 교유를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어려운 삶을 동정하기도 하였으나, 불교에 대한 깊이 있는 학문적 탐구는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율곡은 『도덕경』의 주석서인 『醇言』을 저술하여 노자의 사상을 유학으로 해석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다른 관점에서는 그의 성리설에 도가의 사상이 개입되어 있다는 분석도 있다. 율곡은 1년 정도 승려와 같은 생활을 하였고 불교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가 비록 불교를 비판적으로 말하고 있는 사례들도 있으나, 그의 사상 형성에 불교가 미친 긍정적 효과를 무시할 수는 없다.
    남명은 장자의 사상을 수용하여 독특한 삶과 사상을 이루었고, 율곡은 도가와 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성리학에 접목하여 그의 독창적인 이기론을 정립하였다. 남명과 율곡은 모두 불교와 도가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사상에 수용하였다. 그들은 한국 성리학의 역사에서 ‘삼교회통’ 또는 ‘삼교융회’의 관점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Nam-myeong(1501-1572) and Yul-gok(1536-1584) are who found their own schools in the mid Jo-sun Dynasty. This writing would prove that Buddhism and Taoism contributed to the uniqueness of Nam-myeong and Yul-gok's studies. These two men were criticized that there were heretical points in their studies during lifetimes and this criticism was seriously referred again in the course of demanding Mun-Myo-Jong-Sa(perform a religious service in a confucian shrine) after their deaths. Nam-myeong couldn't be worshiped in a confucian shrine after all and It was repeated several times that Yul-gok could be worshiped in a confucian shrine and then driven out from there.
    Chuang-tzu's effects could be found here and there in Nam-myeong's thought and this may be because Nam-myeong lived as Cheo-Sa(a learned man who lives in seclusion and doesn't enter government service and in mid Jo-sun Dynasty) and accepted Chuang-tzu's heroic and free spirit. In the mean time, Nam-myeong had companionship of Buddhist monks and sympathized their poor living, but he didn't pursuit academic research in depth of Buddhism. Yul-gok is appreciated that he interpreted Lao-tzu's thought by Confucianism as he wrote Soon-un(『醇言』), a annotation book of Lao-tzu(『老子』). On the other hand, some says Toism influenced Yul-gok's Neo-Confucianism. Yul-gok lived as a Buddhist monk for a year and was learned in Buddhism. Even though he sometimes criticized Buddhism, it couldn't be denied that Buddhism took good effects on his thought.
    Nam-myeong created unique ideas and lives accepting Chuang-tzu's thought and Yul-gok established his creative idea, theory of Li and Qi, combining his comprehension of Taoism and Buddhism with Neo-Confucianism. They both had positive view on Buddhism and Taoism and accepted these ideas into their thoughts. As they shows view of 'Intermixture of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in Korean history of Neo-Confucianism, it could be said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