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베토벤의 대위법적 언어, 그리고 바흐: 베토벤의 후기 현악4중주 op. 130을 중심으로 (The Contrapuntal Language of Beethoven’s Late Period, and Bach: Focused on the Late String Quartet op. 130)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음악논단 / 38권 / 35 ~ 72페이지
· 저자명 : 나주리
초록
베토벤의 대위법적 작법을 바흐 수용사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본 논문은 op. 130에 집중한다. 베토벤이 직접 이 작품의 주된 동력이 될 대위법적 언어를 예고했고, 실제로 바흐의 대위법적 작법에 깊이 의지하면서도 고 유의 어법들을 능란하게 구사해 후기 현악4중주들의 대위법적 언어를 대 표할만한 작품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베토벤 의 대위법적 언어는 첫 악장의 도입 마디들에서 시작해 피날레에 이르기 까지 넓고 깊게 파고들어 있다. 그리고 예사로운 대위법적 작법 외에도 화성적 문법으로부터 자유로운 반음계적 진행, 성부 기능의 교환, 다중 주제, 성부들의 리듬과 강세, 아티큘레이션 구별, 변주기법을 이용한 리 듬적, 선율적 수식, ‘동기주제 작법’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인 것의 수평화 등이 성부 동등화의 도구로서 모색된다. 이러한 베토벤의 대위법 적 작법은 대등하고 본질적인 구성 주체로서 조직을 자아나가는 개별성 부들의 존재 가치를 지향하는 바흐 대위법의 이념을 계승한 것이다.
영어초록
Analyzing the contrapuntal techniques of Beethoven’s Late Period in perspective of Bach reception, this study is to concentrate on op. 130. The conclusion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contrapuntal language of Beethoven is spread widely and deeply from the first measures to the finale. Moreover, besides the general contrapuntal techniques, chromatic progress free from rules of harmonics, exchange among roles of parts, multiple themes, distinction of rhythms, accents, and articulations of parts, rhythmical and melodical figuration, and horizontalization of vertical features within the “motivisch-thematische Arbeit” are to be explored as tools of equalization of parts. Such contrapuntal techniques by Beethoven succeeds the ideology of contrapuntal conception by Bach, who promotes the values of individual parts as essential element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