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완의 혁명 그리고 위태로운 삶: 이란 녹색운동과 튀니지 재스민혁명 그 후 10년 (Unfinished Revolutions and Precarious Lives: Ten years after the Iranian Green Movement and the Tunisian Revoluti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2
44P 미리보기
미완의 혁명 그리고 위태로운 삶: 이란 녹색운동과 튀니지 재스민혁명 그 후 10년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리뷰 / 9권 / 2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구기연, 유아름

    초록

    약 10년 전 이란과 튀니지에서는 대규모 시민저항운동이 발발했다. 2009년에는 대통령 선거 결과에 불복한 시민들의 이란 녹색운동이, 2010년에는 사회 불평등과 양극화, 실업난으로 촉발된 튀니지 재스민 혁명이 발발했다. 두 시민저항운동은 특정 이데올로기와 선동가 없이 실업난과 사회 부정의에 대한 시민들의 대규모 분노 표출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1980년대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으로 높아진 양국 시민들의 정치참여 확대와 경제발전 기대는 부의 양극화 심화와 높은 실업률, 만연한 부패, 권위주의 정부의 지속적 탄압으로 무너졌다. 변화에 대한 희망과 현실 사이의 괴리로부터 점층된 상대적 박탈감은 대규모 시민불복종 운동을 이끌었다. 2009년 이란 녹색운동과 2010년 튀니지 재스민 혁명이 가지는 정치적, 사회적 의미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정책도입과 시장경제가 중동에 어떤 변화를 불러왔으며 향후 어떤 사회적 변혁을 이루어낼지 예상하는 데 출발점이 되는 연구라는 데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wo mass civil movements shaped Iran and Tunisia 10 years ago. In Iran, the political movement arose against a fraudulent presidential election in 2009. In Tunisia, Ben Ali’s authoritarian regime collapsed by the mass civil demonstration with the resentment on the high unemployment, corruption, and the lack of political freedom. According to Bayat, unlike the conventional revolution, those two civil movements occurred spontaneously without a certain ideology or ideologu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ailure of Neo-Liberalism policy in 1980s led to the mass civil disobedience to the ante quo in Iran and Tunisia. There was the high expectation from the people that the Neo-Liberalism would enhance the level of political freedom and the economy. The elite cartel, however, monopolized the benefit of Neo-Liberalism policy and the authoritarian regimes strengthened the violent political apparatus rather than opening the political freedom. There has been rising of the economic polarization, the unemployment rate and deteriorating social injustice with the perpetual corruption in Iranian and Tunisian society. Drawing 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high expectation on change and the harsh reality, the relative depression drove the mass political unrest. Those civil movements and their aftermath are significant markers for where Iran and Tunisia stand toda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draws th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ose movements and their aftermath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