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들의 심리 상담에 대한 인식 및 상담동기와 기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에 이전에 내담자 경험이 없는 목회자 3인과 심층면접을 통해 현재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 상담에 대한 내담자로서의 동기와 기대, 그리고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목회자인 본인이 심리 상담을 받는 것에 대한 인식과 동기 측면에서 세 참여자 간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와 관련된 주요 요소 중 첫 번째로, ‘완벽하지 않은 인간으로서 갖는 전문적 도움에 대한 요구’의 정도에 따라 상담 필요성 인식 및 실제 상담을 받고자 하는 동기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번째로, ‘성도들의 시선에 대한 염려’와 하나님의 영광을 가릴 것에 대한 염려’가 상담 받는 것을 주저하게 하는 것과 관련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한 인간으로서의 목회자와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목회자가 갖는 상담에 대한 다중적 인식과 딜레마를 실제 목회자의 경험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목회자를 대상으로 한 상담과 관련된 학술적, 임상적 지식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profound understanding of pastor’s perceptions, motives, and expectations on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motives, and expectations that pastors experience as a client and also studied the needs of counselling for past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astors, who had no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s. Through in and between case studies, we found that there ar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motives of pastors in receiving counselling.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how much pastors’ were motivated to get counselling depends on the strength of need toward professional counselling assistance coming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as imperfect. Finally, pastors’ were hesitant to seek for counseling due to fear of being judged by the congregation and fail to glorify God. By explor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dilemmas of pastors as a person and as a servant of God through pastor’s experience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clinical knowledge on counselling for pastor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