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89권 / 87 ~ 129페이지
· 저자명 : 안영혁
초록
다문화선교는 선교를 여러 가지 면에서 바꾸어 놓았다. 무엇보다도 국내 선교 를단지보내는선교에국한하지않고본격적선교가되게하였다. 선교가그 자체로 실천 목회가 된 것이기도 하다. 선교의 대상이 해외의 외국인이 아니라,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리하여 다문화선교는 선교 의 대중화를 몰고 왔다. 한편 최근에는 난민도 선교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1, 이 또한 다문화선교의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 사태이다. 선교의 이와 같은 진전 가운데, 이제 이주민들을 선교의 대상으로만 두지 않고 주체가 되도록 길을 여 는것이점점더중요해지고있다. 이것은주로문화영역에서동화의방식이 아니라 상호성의 방식이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상호문화적 관계는 소수 이주민과 다수 선주민간의 모든 관계가 평등해지는 것을 지향한다. 이리하여 다문화선교는 우리시대의 하나님나라를 규정하는 실제적 관점을 열어보여 주 었다. 또한 부단히 변해가는 세상 가운데서의 변화라고 본다면, 이것은 선주민 과 이주민을 막론하고 서로의 실존이 막힘없이 실현되게 하는 운동이다. 다문화선교는 이렇게 선교의 대중화 상호문화화 및 관련된 모든 실존의 장애가 없 는 실현을 이루는 우리시대 하나님나라 운동이다. 본 연구는 이런 다문화선교 의 시대적 의미에 닿기 위하여 과거 현재 미래라는 관점을 가지고 그 전체적 흐름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리함으로써 관련자 모두가 자신의 선교 활동을 이해하며 행동하는 선교가 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는 틀로서 위임의 신학을 사용하였다. 만약 조금의 불일치가 발견된다면, 그 틀에 대한 논의를 다시 하는 것은 본 연구를 발전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Multicultural missions have changed missions in many ways. Above all, domestic missions are not limited to just sending missions. Mission itself becomes the practice of pastoral ministry.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object of mission is not a foreigner but a foreigner who entered the country. Thus, multicultural missions have driven popularization of missions. It also made immigrants not object but subject to mission. This led to a way of inter- activity, not assimilation, mainly in the cultural domain. This intercultural relationship aims to equalize all relations between minority migrants and majority former inhabitants. Thus, multicultural missions opened up a practical view of the kingdom of God in our day. In addition, if it is a change in the ever-changing world, this is a movement that allows the human existence of each other, both indigenous and migrant, without obstruction. Multicultural Mission is the movement of God’s Kingdom in our era that realizes popular- ization and mutual-culturalization of missions and realization of all related existence without obstacles. In order to share the meaning of this multicultural mission, this study seeks to capture the whole flow with a viewpoint of past-present-future. So that everyone involved can understand and act on their mission. I used the theology of delegation as a framework to explain this, and it was a quite appropriate framework. If any discrepancies are found, re-opening the discussion of the framework will be an act of developing this study. So this framework is still meaningful.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