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명대 전후칠자 문학의 수용과 관련한 한국과 일본 양국 학계의 연구사를 검토하여 그 성격을 비교하고 양자간의 접점을 찾고자 시도한 것이다. 16세기 후반 이후 조선의 복고적․의고적․상고적 문학과 18세기 에도의 고문사파 문학이 그 주요한 비교 연구 대상이며, 조선통신사와 소라이파 문인들의 교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양국 고문사파 문학의 ‘관계’를 함께 고찰하였다. 한일 학계 모두 초기의 연구는 중국문학과 자국문학의 영향 관계에 집중하였으니, 중국 전후칠자 문학과 차별화되는 지점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차이점을 야기한 자국 문단의 독자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조선문단의 경우 작가의 개성과 내면의 표현을 강조하는 반면, 일본문단의 경우 작품의 격조와 형식, 문사(文辭)의 재현을 중시하는 점이 가장 차별화된다고 정리하였다. 18세기 들어와 일본 고문사파 문인들과 조선통신사의 직접적인 만남이 성사되면서 독자적으로 진행되던 양국의 고문사파 문학에 드디어 접점이 생긴다. 조선통신사와 고문사파 문인들은 전후칠자 문학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다. 이들의 직접적인 접촉이 양국 문단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향후 더욱 발굴하고 주목해야 할 연구 주제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grates and compares the ongoing researches in Korea and Japan on how the literature of the Seven Masters of Ming Dynasty was accepted in both countries. Major focus is on the retrospective literature of later Chosun and the Kobunjiha literature of Edo and also on the literary interaction between Chosun Tongsinsa and the students of Ogu Sorai. The early research focused on what differentiates from the works of the Seven Ming Masters. It has been summarized that Chosun literature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the writer's character, while Edo literature focused more on the structure and rhetorics. In the 18th century, Chosun Tongsinsa and the students of Ogyu Sorai began to make diplomatic encounters which provided contact points between two literary societies that had remained isolated. This encourages continuing research on how the encounters affected the literature in both countri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