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와 다중재난 시대의 공동체의 위기가 불평등 증대 및 사회 안전 망의 부재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구조적 폭력과 그 영향에 대한 분석 은 공동체의 위기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해 이 연구는 크 게 두 가지의 과제에 집중한다. 첫째, 국가 폭력의 확장적 정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 로 국가 폭력의 속성 및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와 관계성이 와해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최근의 극단적・폭력적 사회 현상이 장기화된 불평등 및 구조 적 폭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논한다. 둘째, 구조적 폭력에서 기인한 한국 사회 의 갈등 및 적대의 양상을 억누르고 국가의 정당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또 다시 국가 폭력이 동원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현 정권이 사회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적 변혁에 힘쓰기보다는 오히려 폭력의 악순환을 불러오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같은 분석 을 바탕으로 국가 폭력 연구가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보다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며, 모두의 삶과 공동체를 되살리기 위한 관계성 회복의 길을 모색해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community sustainability—already in threat in the age of neoliberalism and polycrisis—has been undermined owing to long-term structural violence and the lack of social safety net in South Korea. It is thus critical to analyze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structural violence to determine the current nature of community c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 suggest an expanded view of state violence, which helps articulate its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Persisting structural violence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recent social phenomena such as antisocial violence that signals social tensions and conflicts. Second, I conten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eploys a variety of state violence mechanisms to manage social insecurity and oppress social resistance rather than addressing structural root causes. Subsequently, the government policies proliferate forms of violence, exacerbating social divisions and insecurity. This study proposes a notion of neoliberal punitive state to elaborate on how increasing state violence aims to handle insecurity that stems from neoliberal approaches. Finally,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state violence to examine structural harm to community flourishing and sustainabilit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