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내부공익신고자보호법제, 그리고 평가와 시사점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Law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Evaluation and Implications to Korea)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3.12
48P 미리보기
미국의 내부공익신고자보호법제, 그리고 평가와 시사점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48권 / 4호 / 209 ~ 256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내부공익신고자보호법제와 관련하여 미국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랜 제도를 가지고 있다. 관련업무별로 전문적으로 규제하는 입법주의를 취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법률이 산재하고 있다. 미국의 내부공익신고자보호법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워터게이트사건 후에 제정된 1978년 행정사무개혁법에서 기원하는 1989년 내부고발자보호법을 토대로 연방공무원의 내부공익신고자에 대한 보복금지ㆍ권리구제에 초점을 둔 법제가 갖춰졌다. 민간부문에서는 1863년 부정청구금지법이 제정되었으며, 그 후 수차례 개정을 통해 일반 사인의 신고에도 보호구제가 제공되는 등 독특한 Qui Tam 소송제도를 구비하여 오늘날까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대규모 분식회계 사건인 엔론, 월드컴 사건을 계기로 2002년 샤베인-옥슬리법을 비롯해 금융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2010년 도드-프랭크법 등이 정비되어 현재 약 30여개의 내부신고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전문영역별로 존재한다. 대부분의 주에서도 70여개가 넘는 독자적인 법제를 갖추고 있는데, 법적용범위ㆍ신고자범위ㆍ신고대상ㆍ접수기관, 권리구제 등의 요건이 주마다 조금씩 다르다. 미국의 개별법제에서 특히 부정청구금지법은 정부를 상대로 한 모든 ‘부정청구’를 규제하는 법률로, 1986년 개정 이후 사인이 연방정부를 대신한 부정청구소송(이른바 키탐소송)에서 승소하면 손해배상액의 15∼25%를 받는 유인책이 도입되었다. 2000년대 들어 의료기관의 보험부정청구 등으로 적용범위가 확장되어 현재 가장 실효성 있는 법제로 인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익신고자보호법의 경우 180개의 법률위반행위이고, 국민권익위원회법은 일정한 ‘부패행위’로 규정하여 법적용범위가 제한적이고, 양법 모두 언론기관에 대한 정보제공의 보호가 없다. 신고자에 대한 보상금·포상금지급과 관련하여 미국의 부정청구금지법과 달리 국민권익위원회를 통한 적은 액수의 지급제도를 취하여 공익신고의 실효성이 미미하고 보호제도로서 결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미국의 키탐 소송제도의 도입, 입증책임완화, 비밀중재금지, 변호사도움의 문제해결, 단일법으로의 법제화, 시민단체인 법률가조직의 적극적 참여 등은 우리가 전부 수용해도 좋을 비판적 논의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US has historically the traditional legal system on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It featured by individual and professional laws on each mission so that it has complicated, diverse acts. The whistle protection laws in the US consist of federal laws and states’ laws or laws on public affairs and civil affairs. The Federal laws on the public affairs are the Civil Service Reform Act of 1978 and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of 1989 focused on the prohibition of retaliation and remedies. On the other hand, in civil affairs, the False Claims Act of 1863 had been revised to expand its scope of regulation so that any person can persue qui tam action with rewards.
    After Enron Corp. and Worldcom, Inc. scandals took place, the Sarbanes-Oxley Act of 2002 on stock company and listed company, and the Dodd-Frank Act of 2010 on the financial company were respectively established as federal laws in the civil affairs. The United States has about 30 federal laws and 70 states’ laws with its original legal system on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Besides, each state has its own legal system on the scope of whistleblowers and a place for application. Especially, the False Claims Act regulates every false claim against federal government and its 1986 revision introduced the direct incentives which provide the whistleblower 15-25 percent of damages against the false claimant by qui tam action. What is more, after 2010, the False Claims Act has expanded its scope to medical insurance and it has been the most efficient laws for the whistleblowers with public interest. The Sarbanes-Oxley Act can protect disclosure to the press and its special monetary reward makes the protection more efficient.
    However,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laws in Korea have limited scope of protectio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with about 180 laws and the Act on Anti-Corrup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with its limited definition on corruption. Korean laws do not protect leak to the press and its reward is not efficient since it has indirect and lower reward. Besides, Korean and the US laws has the same problems: expansion of qui tam action, release of the burden of proof, prohibition of secret arbitration, simplification of laws, unified law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NGO’s including attorney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