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니 모리슨의『홈』: 나르시시즘, 재 기억 그리고 자유 (Toni Morrison's Home: N arcissism, Rememory and Freedo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토니 모리슨의『홈』: 나르시시즘, 재 기억 그리고 자유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젠더와 사회   / 1권 / 26호 / 83 ~ 113페이지
    · 저자명 : 권은녀

    초록

    토니 모리슨이 발표한 소설 중에서『홈』은 분량 면에서 가장 짧지만 그 무게감만은 적지않다. 모리슨은『홈』을 통해서 진정한 나의 집을 찾는다는 것은 폭력, 책임과 사랑의 문제임을 다양한 인물을 통해서 말하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이 전쟁터와 전쟁터 보다 더한 로터스(Lotus)에서 일상이 된 폭력을 겪으면서 전개되는 일련의 사건은 트라우마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에이터 이바롤라와 이블린 쉬라이버의 힘을 빌려『홈』을 트라우마소설(truma fiction)로 규정한다.
    프랭크의 트라우마는 개인적, 문화적 기억이 신체에 각인된 과거의 경험을 재개시키기때문에 트라우마와 그 회복은 개개인에게 복잡한 층을 이루는 과정이다. 프랭크의 트라우마는 단순히 프랭크라는 한 개인의 사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백인중심 문화 안에서 흑인이라는 인종 전체가 가지는 특수한 상황과 이어져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프랭크의 트라우마 추적에는 프랭크 자신의 시간인 1950년대는 물론, 흑인이 노예가 되기 이전의 시간과노예로서의 시간, 노예 해방 후의 고달픈 시간들이 필요하다. 스텔라 셋카는 리메모리를 통해 트라우마를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리메모리를“잊히지 않는 현재, 기억의 형태, 기억하는 사람을 따라다니는 회상의 행위로 작용”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협적일 정도로 끊임없이 일어나는 과거와 마주함이라는 관념적 반복이 어떻게 트라우마를 가진 등장인물에게 실제적 영향으로 변환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같은 맥락에서 일관성 있는 이야기 만들기와 그 전달이 트라우마를 가진 등장인물에게 발휘하는 영향력 역시 의문이다. 결국 리메모리가 가지는 이러한 반복되는 과거와의 마주함은 단선적 시간에서의‘과거의 회상’과는 어떤 상이한 개념과 영향력을 가지는가의 문제로 귀착된다.
    리메모리가 가지는 반복되는 과거와의 마주함은 가짜 출구에 불과해 보인다. 아무리 과거와 마주해도, 모리슨이 프랭크의 이야기를 아무리 정확하게 말해주려해도, 아무리 반복하여 이야기해도 결코 적대적인 세계 안에서 내 집을 찾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이러한 의문을 시작으로 프랭크의 트라우마적 사건이 리메모리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은 트라우마에 대한 재해석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트라우마의 정의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지지로 질 들뢰즈의‘순수 사건의 개념인 (부정법) 동사’를 가져온다. 들뢰즈의 부정법 동사는 사건의 생성/되기가 미래를 부여하는 비가역성의 시간을 동반한다. 이 비가역성의 시간의 개입으로 리메모리와 이야기, 모리슨의글쓰기, 제의가 미래를 변형 생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관념적 사고 활동이 실제적 행위로변환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들뢰즈의 동사 개념은 기존의 연구와 구별되는 점인 리메모리가 가지는 시간성을 뒷받침한다.
    『홈』에서는 리메모리를 통해 프랭크의 파편화 된 경험을 꿰매는 시간은『빌러비드』의 세쓰, 폴디 그리고 덴버의 이야기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세쓰와 폴디의 노예시절과 노예 해방후의 시간, 노예 시절을 겪지 않은 덴버의 시간은 프랭크의 조각난 이야기의 틈을 메꾸어준다. 그들의 전체 시간은 현재의 프랭크의 시간과 이야기에 응축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시간이 가지는 힘이 애초 의문이었던 기억의 반복이라는 관념이 어떻게 실제적 영향력으로작용하는가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Even though Home is Toni morrison's shortest novel, Its significance weighs. Toni Morrison reveals in Home what home is through characters' responsibility, love and freedom. Because of the reason Frank has experienced a series of events relating battle field and daily life in Lotus more violent than battle field, I define Home as Trauma Fiction. According to Evelyn J. Schreiber, Trauma and recovery are complicated, layered processes for all individuals because both personal and cultural memory reactivate past experiences stored in bodily circuits.
    So, we need to notice that Frank's trauma and recovery also relate to not only merely an individual private narrative but black people's specific circumstances. To trace Frank's trauma, we should weave Frank's time 1950 into black people's weary time before and after slavery. While Stella Setka defines rememory as "a haunting presence, a form of memory and a practice of remembrance that haunts those who remember", she suggest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rauma through rememory. But there still remain some questions that how ideological repetitions can be translated into realistic impression only by facing "memory combined with the threat of repetition". In the same context, following question can be how much impression creating consistent narratives exerts on characters' trauma in Home.
    Ultimately, we reach the question that how distinct facing memory constantly is from recollection of past. It appears to be impossible to find out home in hostile world, even when we recollect past and Toni Morrison tries to totally exactly speak Frank's narrative. So, Rememory seems to make a fake exit. Starting from such questions, I adopt Gilles Deleuze's ‘Infinitive Verb as pure events’to redefine trauma, because it is in the first place to retranslate definition of trauma that trauma can be driving force for creating future. Deleuze's infinitive verb accompanies Deleuze's ‘time’which creates future through events. Deleuze's‘infinitive verb’ can give Time to rememory, which is distinct definition of rememory from one of previous researches. So, Narratives and Toni Morrison's writing can translate ideological repetitions into realistic impression by time intervening into rememory. In Home, to quilt his fragments, Frank needs Sethe, Paul D and Denver's Time. Their demanding‘time’fills up cracks of Frank's narrative, because Frank's present time can emerge by condensing the whole of their time. The power of time answers my ques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