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래 아리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ong Arir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12
48P 미리보기
노래 아리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6권 / 7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운

    초록

    이 글은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10주년을 맞아 아리랑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고, 미래 아리랑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고민의 필요성을 제안한 글이다.
    먼저 아리랑의 과거에 대한 논의는 ‘얄리 얄리 얄라 얄라셩 얄라’를 유사한 선율로 노래하던 고려가요 <청산별곡(靑山別曲)>과 <대국(大國)1>ㆍ<대국2>ㆍ<대국3>의 후렴이 오늘날 ‘아리랑ㆍ아리 아리ㆍ아라리’ 등 아리랑계 악곡의 후렴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자의 선행 연구를 인용하여 강원도의 토속민요였던 <정선아라리>가 서울ㆍ경기지방에 전해져 <구조아리랑>이 되고, <자진아라리>를 바탕으로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인 <본조아리랑>이 만들어졌음을 제시하였다. 이후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들이 만들어져 전국적으로 불려졌고, 1930년대 중국ㆍ러시아 등으로 이주한 동포사회에서도 다양한 아리랑이 불려졌음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분단된 한반도의 북녘땅에서도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이 불려지지만, 중요한 악곡들은 남한과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아리랑의 존재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하루 24시간 국악을 방송하는 국악방송(GBF-FM)에서 2021년 1년간 방송된 악곡을 모두 분석하여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들이 방송된 전체 국악곡의 4%인 2,486곡(중복 악곡 포함)이 방송되었으며, 이 중 원형에 가까운 곡은 1/4 정도이고, 나머지는 기존의 곡을 다양하게 편곡한 대중성이 강한 퓨전음악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악곡별로는 <본조아리랑> 이외에 속칭 ‘3대 아리랑’으로 꼽히는 <정선아리랑>ㆍ<밀양아리랑>ㆍ<진도아리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오늘날 대중들의 아리랑에 대한 선호도를 짐작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아리랑의 지역화/국내화/세계화와 관련하여 다소 선언적이지만 구체성이 부족했던 그동안의 노력을 되짚어 보고, 새로운 공연환경 속에서 아리랑의 활성ㆍ확산ㆍ생활화ㆍ대중화ㆍ현대화ㆍ세계화 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past and present of Arirang in celeb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Arirang's registration in UNESCO,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templation for the desirable transmission of Arirang in the future.
    First, in the discussion of Arirang's pas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horuses of Goryeo Song < Cheongsanbyeolgog; 靑山別曲> and <Daeguk(大國) 1>, < Daeguk 2>, and < Daeguk 3> that were singing yali yali yala yalasheong yala' in similar melodies were changed into the choruses of Arirang-based music such as 'Arirang, Ari Ari, Arari' of today was examined. Thereafter, the fact that citing my previous study, <Jeongseon Arari>, a folk song of Gangwon-do, was transmit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became <Gujo Arirang>, and <Bonjo Arirang>, the theme song of the movie <Arirang>, was made based on <Jajin Arari>.was presente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after, various Arirang-based songs were created and sung nationwide, and that various Arirang songs were sung in the communities of Koreans who migrated to China and Russia in the 1930s. It was found out that although various Arirang-based songs are sung in North Korea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today, important songs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existence aspects of Arirang in Korean society of today, all the songs broadcasted for one year of 2021 by the Gugak Broadcasting Foundation (GBF-FM), which broadcasts Korean traditional music 24 hours a da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ut of all Korean traditional musical pieces broadcasted in 2021, 2,468 pieces (including duplicate songs), which were 4%, were various Arirang-based songs. Of them, about one-fourth were close to the original, and the rest were mostly popular fusion musical pieces made by diversely arranging existing songs. By musical piece, in addition to <Bonjo Arirang>, <Jeongseon Arirang>, <Miryang Arirang>, and <Jindo Arirang>,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three major Arirangs', occupy a large portion, suggesting the public's preference for Arirang today.
    Finally, with regard to the localization/domesticization/globalization of Arirang, the efforts made thus far, which were somewhat declarative but lacking in concreteness, were looked back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on about concrete plans for the activation/diffusion/ habituation/popularization/modernization/ globalization of Arirang in new performance environments was arg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