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19권 / 3호 / 103 ~ 135페이지
· 저자명 : 심혜련
초록
도시 공간은 단순한 일상적인 공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 공간은 철학적 또는 미학적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합적인 시도중 하나가 바로 도시 인상학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도시 인상학을 중심으로 도시 공간과 도시 공간에 남겨진 흔적 그리고 이를 읽는 산책자에 대해 분석한다. 문화 철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시도들을 바로 도시 인상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도시 인상학적 관점에서 도시의 일상성을 읽고 정리하려고 했던 벤야민의 이론을 중심으로 왜 도시가 아우라가 아니라, 흔적을 중심으로 기억과 연관을 맺어야 하는지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도시의 새로운 주체인 산책자와 그의 시선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시 공간에 접근하는 인상학적 시도가 무엇이며, 이러한 시도가 현재 우리의 도시를 분석하는데 어떤 작용을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ie Entstehung der Großstadt war eine große gesellschaftliche Umwälzung. Die Großstadt bedeutet nicht nur einen alltäglichen Raum, sondern auch einen kulturellen und ästhetischen Raum. Aus diesem Grund kann die Großstadt ein philosophis chen und ästhetischen Objekt werden sein. Mit den verschiedenen Aspekten muß man so die Stadtraum berücksichtigen. Dieser Versuch ist die Physiognomik der Stadt. Sie behandelt die Stadtraum mit dem verschiedenden Aspekten. Aus diesem geschilderten Grund versuche ich hier die Stadtraum im Bezug auf der Physiognomik der Stadt, insbesoders Benjamins Theorie, zu analysieren. In dieser vorliegenden Arbeiten sind die Spur und die Flaneure wichtig, weil die beide Begriffe als eine entscheidende Rolle auf Benjamins Theorie von der Großstadten spiele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